세계 굴지의 인천국제공항 지구 내에 항공정비산업(MRO)을 일으키려는 인천의 소망이 다시 벽에 부닥쳤다고 한다. 지난 7월 국회 국토교통위를 통과하고도 기약 없이 법사위에 계류돼 있어서다. 국회 내의 지역이기주의가 발목을 잡고 있는 것이다.
인천공항 MRO 사업은 경제적 논리를 떠나 상식선에서도 너무나 타당하고 시급한 사업이다. 인천국제공항이나 항공산업의 경쟁력 강화는 물론, 우리 젊은이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대거 마련해 주는 사업이다. 인천 MRO 사업을 가로막는 것은 마치 자동차 정비단지를 백두대간의 산골짜기에 마련하자는 논리나 다름없다.
인천 MRO 사업의 열쇠가 될 '인천국제공항공사법 개정안'이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발이 묶여 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윤관석(인천 남동구을) 의원이 대표발의한 법 개정안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목적사업에 ▲항공기정비업 유치 및 항공기 정비단지 조성을 위한 지원사업 ▲항공기 취급업 ▲교육훈련사업 지원 등을 추가시키는 내용이다.

2017년 말 정부가 항공정비산업단지 육성을 지정한 경남 사천 등 비수도권의 견제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인천시와 인천공항공사는 항공정비단지가 공항경제권 구축의 핵심사업이니 만큼 시급하다는 입장이다. 골든 타임을 놓치면 인천공항의 항공 안전사고 위험은 물론, 고부가 항공기 정비 수요의 외국 유출이 가속화될 수 있다. 전문 정비 인력들의 외국 유출 사태도 이어지고 있다.

문제는 이 법안이 20대 국회 임기가 끝나면 자동 폐기되는 데 있다. 그러면 21대 국회 개원 후 개정안 발의부터 상임위 통과, 법사위 통과 등의 절차를 처음부터 다시 밟아야 되는 것이다.
현재도 인천공항을 오가는 항공기들은 인천에 MRO가 없어 불편과 경제적 손실을 감수하고 있다. 부품을 챙겨 중국 상하이로 가든가 멀리 사천까지 날아가는 실정이다.
인천 MRO를 위해 폴리텍대학 인천캠퍼스는 항공정비를 특화해 젊은 인재들을 육성하고 있다. 다른 무엇에 앞서 취업절벽에 우는 우리 젊은이들을 위해서라도 인천 MRO는 하루빨리 실현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