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SL공사)가 벌이는 행태를 보면, 과연 쓰레기매립지가 어디에 존재하는지 묻고 싶다. 엄연히 인천에 매립지가 있어 여러가지 환경피해를 주고 있는 상황에서 인천시 의견은 안중에도 없다. 시가 2025년에 포화를 이룰 제3-1매립장을 끝으로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선언했는데도 '매립 연장'을 위한 시도는 계속된다. '꼼수'를 부리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설득력을 얻는다. 추가 매립 논란이 분분한 제3·4매립장 잔여 면적이 '향후 매립에 사용될 수 있는 여유부지'로 언급됐기 때문이다.

수도권 3개 시·도에서 배출되는 생활 쓰레기를 소각하고 건설 폐기물을 선별하는 전처리 시설을 수도권매립지에 설치한다는 계획을 환경부가 승인했다고 한다. SL공사는 전처리 시설에 반대하는 인천시 의견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인천은 정부의 '들러리 구실'만 하는 게 아니냐는 비판을 들을 만한 대목이다. 최근 SL공사가 작성한 '제6차 수도권매립지 환경관리계획'을 환경부에서 승인한 내용을 살펴보면, 충분히 그럴 만하다. 2년마다 세우는 이 계획에는 수도권매립지 부지 활용, 기반시설 관리 방향 등이 담겼다. SL공사가 내년을 목표 연도로 삼아 지난 5월 작성한 6차 계획에는 '수도권의 폐기물 자원화 촉진 대책'으로 생활 폐기물 자원화 시설, 건설 폐기물 전처리 시설이 포함됐다. 생활 폐기물 자원화 시설은 수도권 3개 시·도에서 발생하는 쓰레기를 하루 600t씩 소각 처리할 수 있는 규모다.

수도권매립지에 전처리 시설을 추가하면 주변 지역 피해는 뻔하다. 가뜩이나 서구 지역 주민들은 매립지로 인한 악취를 비롯해 소음·분진 등으로 시달린다며 민원을 제기한다. 인천시도 이를 감안해 지난해 11월 전처리 시설 설치 안건을 심의한 수도권해안실무조정위원회에서 계획 변경을 요구한 상태였다. 그런데도 SL공사와 환경부는 이런 시의 요청을 무시하고 결정을 내렸다. 시 정책과 엇박자를 내는 SL공사와 환경부에 대해 이제 시민들이 나서야 하겠는가. 인천이 짊어질 부담을 최소화하고 시민 삶의 질 향상에 아랑곳하지 않는 SL공사와 정부는 비난을 받아 마땅하다. 수도권 쓰레기 정책에 일대 전환을 가져오길 촉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