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9월 개통예정인 인천지하철 1호선의 역세권 부대사업이 벌써부터 시민들의 깊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하철이 개통되면 그 구간에 있는 驛舍(역사)주변은 새로운 상권이 형성되고 각 역사의 승객을 대상으로 한 광고물과 간이매점등 시설물도 적지않은 수입을 올릴 수 있는 사업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인천시 계양구 귤현동~연수구 동춘동까지 24.6㎞에 이르는 인천지하철 1호선은 22군데에 지하철 역사가 개설된다. 대중교통수단인 지하철은 그야말로 대량수송체계다. 많은 시민들이 지하철을 이용함에 따라 자연스럽게 역주변은 상권이 조성되게 마련이다. 더욱이 각 역사마다 승객들의 편의를 위한 간이매점, 신문판매대, 음료수 자판기 등 임대시설물이 들어서 적지않은 이익을 낼 수 있는 사업이 되기 때문에 지하철 부대사업 내용에 대한 관심은 그만큼 큰 것이다.

 인천시 입장에서도 지하철 역세권의 부대사업은 승차권 판매수익 못지않게 적지않은 수입이 예상되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다룰 수 없는 사업임에 틀림없다. 그렇지만 역사내의 임대사업이 자칫 특혜시비를 불러올 오해의 소지가 있다는 점을 유념해야 한다. 이해가 얽히는 광고물수주나 시설물임대는 공개입찰등의 방법으로 공정하고 투명하게 추진되어야 마땅하다.

 인천지하철 1호선은 건설비의 차입금 비중이 높아 엄청난 부채를 안고 있다. 지난 96년 착공이래 5년간 6천5백억원의 부채를 안고 있으며 내년에는 인천시 부채규모의 52%인 8천억원에 이르러 지방재정 운용에 막대한 부담을 주고 있다. 따라서 내년에 지하철이 개통된다 해도 부채상환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향후 10년간은 적자운영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때문에 인천시는 지하철 요금을 현실화해서라도 부채를 조기상환한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결국 시민들의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게된 것이다.

 그렇다고 재정적자를 시민들에게 부담시켜서는 안될 일이다. 지하철운영의 경영합리화를 통해 적자요인을 자체적으로 흡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시민부담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지하철 역세권의 부대사업도 내실있게 추진되어야 함은 물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