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경희 도의원 "피해자 포괄적 지원·민족 공동의 역사로 기억을"
▲ 김경희(민주당·고양6) 경기도의원이 14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성명을 발표하고 일본 정부를 규탄하고 있다. /사진제공=경기도의회


"강제적인 방법이 아니었다는 일본 정부나 토착 친일파들의 주장은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리는 수작."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피해 여성근로자에 대한 실태조사 연구용역을 추진해온 김경희(민주당·고양6) 경기도의원은 14일 성명을 냈다.

김 의원은 "실태조사결과에는 강제동원 당시의 비참한 현실뿐만 아니라 귀향 후 현재까지 삶을 이어온 고난의 현대사가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며 "이들의 생생한 증언은 강제동원이라는 역사적 사실을 부정하고 '돈
벌러 갔을 뿐'이라는 일본정부와 토착 친일파들의 주장을 반박하는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들은 10~15세 어린 나이에 동원됐다. 공부를 시켜주겠다고 속임수를 쓰고 일정한 할당량을 정해놓고 면서기와 순사가 함께 나와 강제로 끌고 가는 방식이었다"고 말했다.

그는 군수공장에서 궤짝을 놓고 서서 일했던 어린 소녀들, 쇠를 두드리고 깎는 육체노동에 시달리면서도 제대로 된 치료도, 임금도 받지 못했던 일제강점기 강제동원 여성근로자들의 노동현장 실상에 분노를 토했다. 특히 강제동원 후 고향에서의 삶도 조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고향에 들어와서의 삶도 녹록지 않았다. 가족들에게 과거를 숨겨야했던 경우도 많았고, 당시의 후유증으로 고생하기도 했다. 경제적·정신적·사회적 어려움을 모두 겪어야 했다"며 "그럼에도 이분들의 고통에 대해 단 한 번의 진솔한 사과도 없이 한일협정으로 인한 청구권 소멸 운운하는 일본정부가 과연 같은 인류에 속하는 족속인지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 2015년 한시법 운영기간이 끝나 중단된 피해자 신고도 즉시 재개하고 전국 생존 피해자에 대한 심층 전수조사를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경제적·신체적·심리적·사회적 어려움을 극복할 수 있는 적절한 피해자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했다.

김 의원은 "지난 2014년 경기도 조례가 제정돼 도내 거주하는 피해자에 대한 지원이 이뤄지고 있지만 월 30만원의 정액지원금과 최대 30만원의 의료실비 지원은 만족스럽지 못한 지원규모"라며 "강제동원 여성근로자에 대한 현실적이고 포괄적인 지원과 이들의 과거가 개인사로 잊혀지지 않고 우리 민족 공동의 역사로 기억될 수 있도록 다각적인 방안을 강구하고 실행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중래 기자 jlcomet@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