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일본의 수출규제를 계기로 소재·부품·장비산업의 집중 육성에 나선다고 한다. 핵심 품목 100개를 선정하고 전폭적인 지원을 통해 5년 내에 자급체계를 구축한다는 방안이다. 뒤늦었지만 가야 할 방향이다.
부품·기술의 독립은 이제 우리 경제의 사활이 걸린 문제가 됐다. 특히 인천에는 소재·부품산업이 많이 몰려 있다. 이는 곧 인천지역 경제에 기회가 될 수도 있다는 얘기다. 인천시와 지역 경제계는 이번 기회를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정부의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책은 일본 의존도를 낮추는 동시에 관련 국내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다. 100대 핵심 품목 가운데 20대 품목은 1년 이내에, 80대 품목은 5년 이내에 공급 안정화를 이룩한다는 목표이다.

이를 위해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으로 7조8000억원을 투자하고 핵심 기업 인수합병에 2조5000억원 이상의 펀드를 마련키로 했다. 또 29조원 규모의 금융지원과 6조원 규모의 특별지원 등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예산을 배정해 핵심품목에 대한 투자를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홍남기 부총리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이같은 대책을 밝히면서 "기술개발에는 재정, 세제, 금융, 규제완화 등으로 지원하고 기술도입이 필요한 분야는 인수·합병(M&A), 벤처캐피탈(VC) 지원 등을 통해 전문기술을 확보하겠다"고 했다.

이에 따른 인천지역 경제계의 기대감도 크다고 한다. 전국 17개 시·도에서 경기(9134곳), 경남(3102곳), 경북(2234곳)에 이어 소재·부품기업이 많은 인천이다. 이번 정부 지원을 성공적으로 활용할 경우, 든든한 성장동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2017년 기준 인천에는 모두 1927개에 달하는 소재·부품업체들이 생산활동을 하고 있다. 한해 생산액 26조7601억원에 부가가치액이 9조2868억원에 이른다.
의욕처럼 쉽지만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인천 지역경제로서는 모처럼의 기회일 수도 있다. 이들 기업들과 지역 대기업·대학을 아우르는 산·학·연 연계체계가 구축돼야 한다. 인천시는 그 무엇보다 규제를 풀어 이들 기업들에 족쇄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