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해저관로 완공' 등 재발방지 혁신안 발표


인천 '붉은 수돗물(적수)' 사태가 두 달여 만에 사실상 정상화 됐다. 수돗물 공급 체계를 전환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이번 사태는 26만여 세대 피해로 이어졌다. 피해 보상 절차는 수개월, 설비 개선에는 최소 수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인천시는 4일 영종복합청사에서 주민 1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설명회를 열어 수질 정상화를 선언했다고 밝혔다. 5일에는 수돗물 사태를 일단락 짓는 박남춘 인천시장의 기자회견도 예정돼 있다.

▲정상화 선언, 어떤 내용 담겼나

이날 영종 수돗물 민관대책위원회는 주민 대표와 박 시장이 서명한 '영종 수질 정상화 및 수돗물 개선 혁신안 민관 공동 선언서'를 통해 수질 정상화를 공식 선언했다. 수돗물 혁신안에는 재발 방지를 위한 조치가 담겼다. 제2해저관로를 2022년까지 완공하고, 영종지역 수도관 관리와 세척 예산을 반영한다는 것이다.

지난달 30일 검단복지회관에서 열렸던 서구지역 설명회는 정상화 선언서 서명으로까지 이어지진 않았다. 시 관계자는 "피해 보상 방향과 수돗물 혁신안을 발표하고 주민 의견을 수렴했기 때문에 암묵적 합의가 이뤄졌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2년 같은 두 달' 보낸 26만 세대

붉은 수돗물 민원은 지난 5월30일 오후 서구지역에서 처음 접수됐다. 이날 오전부터 서울 풍납취수장·성산가압장 전기설비 점검으로 서구·영종·강화 등지에는 공촌정수장이 아닌 남동·수산정수장에서 수돗물이 공급됐다.

단수를 피하려던 수계 전환은 수돗물 대란을 불러왔다. 6월2일 영종지역, 같은 달 13일부터는 강화지역에서도 민원이 빗발쳤다. 상수도사업본부의 '수질 적합' 발표는 들끓는 민심에 기름을 부었다.

'무리한 수계 전환'이 직접적 원인이었다는 정부원인조사반 발표로 상수도 행정 전반의 문제점이 드러났다. 역방향으로 유속이 2배 이상 빨라진 물은 이물질과 함께 공급됐고, 정수장 탁도계는 아예 고장났다. 조명래 환경부장관은 "100% 인재라고 본다"고 말했다.

시는 수질 개선 작업에 나섰지만 150여개 학교와 527개 어린이집은 급식 중단 등의 피해를 겪었다. 피부·위장 질환을 호소한 환자도 1500명을 넘어섰다.

▲"불신 넘어 상수도 혁신 계기로"

시는 두 달여간의 복구 끝에 수돗물이 사고 이전 수질로 회복했다고 판단하고 있다. 공촌정수장 고도정수처리 시설을 하반기부터 조기 가동하고, 노후 수도관을 교체하는 등의 수질 개선 계획도 발표했다.

구자용 서울시립대 교수는 최근 토론회에서 "국내 상수관로는 단기간에 대량 설치돼 개량과 유지관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요될 것"이라며 "관로 상태 진단으로 기능을 평가해 잔존수명을 판단하고 유지관리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번 사태를 상수도 혁신 계기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수돗물시민네트워크는 "붉은 수돗물은 시설만의 문제가 아니라 관리의 문제"라며 "수도관 모니터링과 세척 등 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상수도 분야 인력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



관련기사
[월요기획] 붉은 수돗물 사태 정상화-붉게 물든 삶 깨끗이 닦아줄 차례 "이미 소를 잃었다. 외양간을 고치려면 제대로 고쳐야 한다."가톨릭환경연대·인천녹색연합·인천환경운동연합은 지난 1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수돗물은 포기할 수 없는 공공재"라며 이렇게 주문했다. 박남춘 인천시장은 "지적을 뼈아프게 받아들인다"고 했다.'붉은 수돗물(적수)' 사태가 보상과 상수도 혁신이라는 2라운드로 돌입했다. 피해 보상안은 공개됐지만 보상 심의 과정에서 진통이 불가피해 보인다. 총 8000억원이 넘을 것으로 예상되는 수도 설비 투자도 시 재정에 부담으로 남을 전망이다.▲이달 보상 접수, 생수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