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희찬 인천대 경제학과 교수

최근 모 기업과의 회의에서 나온 주된 이야기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전문 인력을 찾기 너무 어렵다"는 것이다. 그 기업은 배출권 거래제도에 따라 매년 수 백만 톤의 온실가스를 줄이는 규제를 받고 있는 기업인데 온실가스 감축 사업을 시작하고 싶어도 누구한테 무엇을 물어봐야 할 지 모르겠고, 컨설팅 업체를 찾아가도 변호사를 만나도, 여신을 위해 금융기관을 찾아가도 속 시원한 답을 얻을 수 없어 애를 태우고 있다고 한다. 어처구니없게도 그 기업은 "당장에 녹색기후금융(GCF)에라도 달려가 봐야 하는 게 아닌가" 하고 묻고 있었다. 한국이 본격적인 체질개선의 하나로 시작한 배출권거래제는 2015년에 태동한 이후 지속적으로 감축 부담이 커져가고 있다. 발 빠른 기업들은 T/F팀도 만들고 배출권거래에도 참여해보고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업들은 우왕좌왕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는 형편이다. 앞으로 기업이 감축해야 하는 부담은 점점 더 증가할 전망이다. 특별히 최근에는 기업들이 개발도상국에서 온실가스 감축활동을 통해 해외에서 배출권을 구해오려고 하는 상황에서, 해외 사업에 대한 경험부족과 전문인력 부족으로 이마저도 만만치 않다.

마침 녹색기후금융에서도 관련 인력양성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특히 개발도상국이 기후변화 대응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제안서를 작성하거나 국제 금융 상품을 설계할 때 기본적인 과제 제안의 흐름과 수행을 할 수 있는 잘 훈련된 인력이 없다고 한다. 이러다 보니 해당 개발도상국에서는 시급한 기후대응 과제임에도 불구하고, 제안서의 기본 형식도 제대로 갖추지 못해서 과제가 아쉽게 탈락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인천은 기후변화와 환경관련 국내 최고의 여건이 하나하나 조성되고 있다. 인천 서구에는 환경공단, 환경산업연구단지, 수도권매립지공사, 국립생물자원관이 입지하고 있어 정책분야와 기술 분야의 퍼즐이 맞춰지고 있다.

또한 인천 연수구에는 GCF와 같이 개도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재정분야의 국제기구가 자리하고 있고 유엔지속가능발전센터(UNOSD), UNESCOP 동북아지역 사무소, 동북아 환경협력프로그램 사무국(UN NEASPEC), 유엔 재해경감 국제전략(UN ISDR) 동북아사무소, 글로벌 녹색성장기구 인천사무소, 황해광역생태계 보전사업 사무국(YSLME), 녹색기술센터(GTC) 인천사무소 등이 하나 둘씩 입지하고 있어 금융과 기술 그리고 글로벌 역량 분야 퍼즐도 맞춰지고 있다.
이러한 역량과는 상반되게 인천은 여러 산업단지, 중부지역 최대 물류유통 시스템, 300만의 인구와 구도심 개발, 수도권매립지, 영흥화력발전단지 등 처음부터 끝까지 환경개선과 지속가능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지역이기도 하다.

이처럼 기후변화 대응과 환경개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모두 넘쳐나고 있지만, 이를 연결해 줄 수 있는 인천시 차원에서의 정책적 지원과 이를 수행할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전략방향은 아직 충분히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
인천 내 기후변화 대응 관련 전문가 집단은 하나 둘씩 모이고 있으나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소위 '플랫폼'이 없다보니 집단적 지성을 통한 아이디어 개발과 더 큰 거시적 차원의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사업에 대한 기획을 할 수 있는 기회를 계속 놓치고 있다.

특히 그동안 GCF와 인천시의 협업에 대한 갈망이 번번이 좌절돼왔던 상태에서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를 운영할 수 있는 개도국 실무진에 대한 인력양성 사업은 인천시도, GCF도 모두 윈윈(Win-Win)할 수 있는 좋은 분야가 될 수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인천 내 기후변화 대응 분야 전문가를 모으고 이들을 하나의 네트워크로 묶어낼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낼 수 있다면 이들 전문가 네트워크는 하나의 훌륭한 지식과 경험의 전달자 역할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새로운 국내외 기후변화 대응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수행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인천시는 이제라도 이러한 기후변화 대응 분야 인력양성에 앞장서야 할 것이며 이 분야를 향후 핵심 사업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관련 기관이 모이고 시설과 설비가 모인다고 해도 이를 직접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지 않는다면 이 좋은 호기를 또 다른 지역에게 내어줄 뿐 아니라 기왕에 집적된 기관들까지도 인력부족을 핑계로 다른 지역으로 유출될 가능성이 높다. 뿐만 아니라 이제 배출권 거래제도의 시행과 더불어 국내외 기업들의 폭발적인 인력 수요가 눈에 뻔히 보이는 상황에서 인천시가 이를 수행할 전문 인력을 꾸준히 양성한다면 국가 전체적인 지속가능발전 차원에서도 향후 기여하는 바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