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쓰레기 대체매립지 선정이 불투명하면서 5년 후 쓰레기 대란을 맞이할 공산이 크다. 지난 2015년 인천시와 경기도·서울시·환경부 등 4자 협의체가 서명한 수도권 공동 대체 매립지 조성 협의가 좀처럼 진전을 보이지 못하고 있어서다.

지금 당장 쓰레기 매립지를 조성해도 7년여가 걸리는 사업인데 현재 쓰레기매립장으로 운용되고 있는 3-1공구마저 2025년 포화상태에 이르게 되면 뾰족한 쓰레기 처리 방법이 없게 된다.
상황이 생각보다 심각한 수준이지만 4자 협의체의 행보가 더디다. 하지만 인천시는 4자 협의가 무산될 경우를 대비해 차선책을 강구하고 나섰다. 당장 인천 쓰레기 처리가 발등의 불로 떨어져 있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우선 수도권 쓰레기 매립지 사용을 원천 봉쇄해 더 이상 인천이 수도권 쓰레기 처리의 환경적 피해를 안고 가지 않겠다는 방침이다.
'발생지 처리 원칙'에 따라 인천시는 25일 자체 매립지 조성을 선언했다. 이에 따라 시는 자체 매립지 추진단을 가동했으며 다음 달 말 매립지 선정을 위한 타당성 용역을 발주하기로 했다. 생활쓰레기를 모두 소각 처리하고, 재활용을 확대하겠다는 의지가 포함된 것으로 알려진다. 이에 따라 시는 대체 매립지 선정뿐만 아니라 소각장·소각로를 확충해야 하는 입장이다. 주민들의 저항과 반발이 수반되지 않도록 초기부터 사업 추진의 신뢰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쓰레기 대란의 심각성을 알리고 선진 재활용 시스템 구축에도 앞서 나가야 하겠다.

2017년 인천의 하루 평균 생활폐기물 양은 2280t에 이른다. 이 중 소각비율은 30.4%이고 58.6%가 재활용, 11%는 매립됐다. 인천시는 하루 평균 252t에 이르는 직매립량을 2025년 제로로 만들 수 있도록 소각 또는 재활용 처리하겠다는 방침이다. 소각장 증설을 위한 논의가 재점화될 상황인 만큼 시는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
시 정책을 미리 공개하고 주민 이해와 설득에 나서야 한다. 주민들도 합리적인 방안에 대해서는 무조건 반대 분위기를 조성하는 님비현상을 자제할 수 있을 것이다. 매립지 조성과 소각장 증설 등의 불가피성을 주민뿐만 아니라 기초자치단체와의 협치로 풀어나가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