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매립 줄이려면 소각 늘려야"
시설 증설 '공정·투명성' 중요
시 "공론화로 주민 의견 수렴"
▲ 25일 인천 남동구 인천문화예술회관 회의장에서 열린 '자체매립지 해법 찾기 토론회'에 참석한 패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이상훈 기자 photohecho@incheonilbo.com


인천에서 지난 2017년 배출된 생활 폐기물은 하루 평균 2280t에 이른다. 이 가운데 소각 처리되는 비중은 30.4%인 692t에 그친다. 1336t(58.6%)은 재활용됐지만 11%에 해당하는 252t은 매립장으로 향했다.

인천시가 25일 자체 매립지 조성을 선언하면서 제시한 '2025년 직매립 제로화 달성 계획'을 보면 2025년 직매립량 목표치는 0t이다. 2017년 하루 평균 252t이 매립됐던 생활 쓰레기를 소각 또는 재활용 처리한다는 것이다.

류제범 시 수도권매립지정책개선단장은 "매립지 조성 논의는 직매립을 금지하는 인천형 친환경 폐기물 정책과 병행돼야 한다"며 "매립지뿐 아니라 소각장 등 환경기초시설 확충도 공론화할 시점"이라고 말했다.

소각장 증설 논의도 재점화할 것으로 보인다. 윤하연 인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날 인천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실에서 열린 '자체 매립지 해법 찾기 토론회'에서 "매립 폐기물을 최소화하려면 소각량을 늘릴 수밖에 없다"며 "청라·송도 소각시설을 현대화하고, 안정적 운영을 위한 소각로 증설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염두에 둔 자체 매립지 확보, 소각장 증설 과정에선 공정성과 투명성이 전제 조건이라는 목소리도 나온다.

최진형 가톨릭환경연대 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매립지 해법을 찾으려면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를 밟아야 한다"며 "빙빙 돌려서 얘기할 때가 아니다. 시민에게 신뢰를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변병설 인하대 행정학과 교수도 "친환경적인 매립장을 만든다고 하는데, 어떤 방향으로 조성되고 어떻게 운영되는지 구체적으로 시민에게 공개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시는 폐기물 관리 정책을 공론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백현 시 환경녹지국장은 "주민 동의 없이는 사업 추진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해 공론화 과정을 통해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시민과 기초자치단체 모두가 해결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순민 기자 sm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