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 해양항공 정책 토론회] 市 역할과 예산 반영안 제시

인천을 동북아 중심도시로 키우기 위해서는 공항배후 항공정비·물류단지에 대해 인천시가 책임있는 역할과 이에 걸맞는 예산을 투여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인천국제공항을 중심으로 '공항경제권'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가운데, 인천시의 항공산업 육성 방안이 주목되고 있다.

9일 인천문화예술회관 회의장에서 열린 2020년도 해양항공분야 예산편성을 위한 정책토론회에서 최정철 인하대 융합기술경영부 교수는 인천국제공항 공항경제권 모델을 기반으로 한 인천시의 역할과 예산 반영안을 제시했다.

그는 특히 인천국제공항이 있는 영종국제도시를 '1환 공항경제권'으로 보고, 항공정비단지와 물류산업단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최 교수는 "항공정비·물류단지는 공항경제권의 핵심으로 중요성이 늘 강조돼 왔지만 예산 편성에서는 매년 외면되고 있다"며 "인천공항공사와 별개로 인천시의 적극적인 예산 반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인천시는 2022년까지 인천공항과 직접 연관된 항공운송·정비·물류산업을 비롯해 부품, 마이스(MICE), 항공우주 연구개발까지 관련 산업을 육성하는 '공항경제권' 조성 계획을 발표했지만, 관련 제도 등이 정부 정책과 연계된 부분이 많아 국토부 계획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었다.

그는 "공항구역내 격납고와 항공부품물류창고 등은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예산으로 조성돼야 하지만 4활주로 옆 항공정비단지의 공항구역 외에 유치할 항공엔진정비공장과 항공부품정비공장, 항공정비교육훈련센터 등은 인천시의 투자가 필요하다"며 "항공물류산업단지 역시 공항구역 밖의 단지는 공항공사가 아닌 시 예산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 교수는 항공산업과 항공부품산업에 대한 명확한 구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항공산업은 운항물류와 부품제조 분야로 나뉘는데 시 정책에는 그 구분이 모호한 편"이라며 "송도와 청라 등 '2환 공항경제권'에서는 항공부품에 관련된 제조업적 성격을 강조하고, 기존 산업단지와 연관해 어떻게 활용할지 명확한 목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또 "인천국제공항의 대북교류 거점 육성 방안은 연구 프로젝트보다는 연구와 토론회 등으로 전환하고, 인천국제공항 항공노선 확대 구상을 위해 관련 전문가들이 함께 머리를 맞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신나영 기자 creamyn@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