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창섭 -정치부장

# 인천 월미도에 국립인천해양박물관이 들어선다. 인천의 오랜 숙원사업이 드디어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 2024년이면 문을 연다.
이 사업은 그동안 많은 우여곡절을 겪어왔다. 지난 2002년 정부 예타에서 떨어진 후 자체사업으로 전환돼 인천해양과학관 건립에 나섰고, 인천항 갑문 일대 매립사업을 벌여 이번에 박물관 부지를 제공했다.
인천과 달리 부산은 일사천리로 사업이 진행됐다. 정부 예타를 거쳐 2012년 세계 최초의 국립부산해양박물관이 들어섰다. 다양한 해양문화 전시회는 물론 시민체험형 프로그램 운영으로 부산시민들로부터 인기를 끌고 있다.
벌써부터 부산의 견제는 시작됐다. 부산국립해양박물관을 본원으로 삼고, 인천해양박물관을 분원으로 관리하겠다는 요구를 지속적으로 해수부에 전달하고 있다.

# 영종대교 아래 있는 준설토투기장 개발문제로 인천이 시끄럽다. 지난달 24일에는 영종도 준설토투기장을 일본 자본이 주도해 민자 개발하는 한상드림아일랜드 착공식이 열리기도 했다.
한상드림아일랜드 개발사업은 인천항 수심 유지를 위해 바다에서 퍼낸 준설토를 투기해 영종대교 하단에 조성한 토지 332만㎡(약 100만평)을 해양관광 단지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일본의 파친코 자본인 ㈜마루한이 76% 지분으로 설립한 ㈜세계한상드림아일랜드가 시행하고 있다. 인프라 구축을 위해 국비 820억원도 지원한다고 한다.

물론 인천의 목소리는 이 사업에서도 찾을 수 없다. 인천 시민, 특히 원도심 주민들의 염원이 서린 내항 재개발의 국비 지원에 인색한 해수부가 민간사업에는 수백억원을 지원하는 셈이다.
# 인천 송도 신항 매립지에 쓰레기를 매립할 수 있는 연구용역이 공개되면서 지역 사회가 뜨거웠다.
이 연구사업은 해수부가 57억원의 용역비를 들여 지난 2016년부터 진행했다. 인천 신항을 비롯해 가덕도 앞바다와 새만금 매립지 등 전국 6개 권역의 후보지를 평가했다.
유일하게 인천신항은 10개 기준 중 1개를 제외한 9개 기준에 가장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부산지역에서는 용역결과를 갖고 토론회가 개최되기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역 반발이 거세지자 해수부는 "연구진의 연구결과일 뿐이며, 폐기물 해상 처분장에 대한 어떤 계획도 없다"고 밝혔다. 인천시도 "사전에 인천시와 어떠한 협의, 논의 없이 정부가 독자적으로 진행했다"며 "이를 추진할 계획이 전혀 없다"고 확실한 선을 그었다.

위에 언급한 3가지 사례 모두 대한민국의 바다정책을 총괄하는 해양수산부가 그 주인공이다. 또한 인천 앞바다에서 진행되고 있는 일이기도 하다. 하지만 인천의 목소리는 좀처럼 찾을 수가 없다.
국립인천해양박물관 확정은 환영할 만한 일이다. 하지만 벌써부터 걱정이 앞선다. 인천을 해양 도시로 육성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확보했지만 이를 채울 콘텐츠는 아직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인천 앞바다 해양 유물 조사는 물론이고 인천 섬들에 대한 생태계·문화 조사는 여전히 걸음마 수준이다. 더구나 인천의 해양 문화재는 인천에 없다. 대부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있는 목포와 태안에 소재해 있다.
다른 해양 분야도 마찬가지다. 해양 전문 인력은 고사하고 해양 정책 또한 항상 다른 개발사업에 밀려 후순위다.
타 지역은 어떤가. 부산은 대한민국 해양수도를 천명하며 해양 정책 전반을 주도하고 있다. 환동해 시대에 이어 신남방·신북방 실크로드를 준비하고 있다.
충청권도 환황해 중심 역할을 위해 매년 포럼을 개최하는 등 주도권 잡기에 나서고 있다. 제주는 크루즈를 특화시켜 관광산업 육성에 열심이다.
인천은 누구보다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환황해의 주요 도시들을 잇자. 한국의 인천·군산·목포·제주, 중국의 상해·청도·천진·대련, 북한의 신의주·남포·해주가 연결되면 동북아시아를 하나로 묶을 수 있고 남북문제도 자연스럽게 방향을 잡을 것이다.
앞으로 환황해 해양 정책은 인천이 주도하자. 전문인력을 끌어들이고 해양 정책을 인천시의 최우선 순위로 격상시켜야 한다. 환황해지역을 주목하자. 환황해 지역은 동아시아 문명이 시작된 곳이며 대한민국의 미래가 있는 곳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