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0 '남북미 회동' 이후 구상
북미 실무협상 지원 주력 관측
친서교환 이벤트등 동력 예고
남북정상 접촉은 지연 가능성
지난달 30일 '판문점 남북미 회동'을 통해 큰 고개를 하나 넘은 문재인 대통령이 향후 한반도 프로세스를 어떻게 이끌어 갈지 귀추가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1일 연차 휴가를 내고 관저에 머무르면서 휴식을 취했다.

하지만, 남북미 회동, 북미 정상 회동의 성과를 정리하고 향후 한반도 평화 정책 구상을 가다듬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안팎에서는 북미 정상이 실무 협상팀을 꾸리는 데에 공감대가 형성된 만큼 이제까지 남북미가 보여준 정상 간 전격 만남 등 '톱다운' 방식의 소통은 상대적으로 잦아들 수도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또, 4차 남북 정상회담 시기 역시 애초 구상보다 늦어질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문 대통령도 전날 한미 정상회담 후 가진 공동기자회견에서 "중심은 북미 간의 대화"라며 "남북 대화는 다음에 다시 도모하게 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대신 문 대통령은 북미 간 실무협상이 제대로 가동돼 비핵화 협상이 실질적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북미간 실무협상 과정에서 한국 정부가 물밑에서 적극적인 지원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실무협상 재개는 문 대통령이 공개적으로 제안한 방식이기도 하다.

문 대통령은 지난 15일 북유럽 순방 중 한·스웨덴 정상회담 직후 공동 기자회견에서 "실무협상을 토대로 (북미) 양 정상 간 회담이 이뤄져야 하노이 2차 정상회담처럼 합의하지 못한 채 헤어지는 일이 다시는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문 대통령은 실무협상 지원에 집중하면서도 북미 정상과는 다양한 방식으로 소통을 계속할 것으로 보인다. 친서 교환을 비롯한 정상 간 '이벤트'는 비핵화 협상의 틀을 유지하고 진전시키는 동력으로 작동할 수 있다.

한편 '하노이 노딜' 후 이어진 한반도 안보의 긴장 국면이 해소되면서 남북간 협력사업이 다시 속도를 낼 수 있을지도 관심이다.

전날 문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과 DMZ 전방 초소를 찾아 개성공단에 대한 설명을 한 점도 주목된다.

문 대통령은 앞서 통신사들과의 서면인터뷰에서도 "개성공단 재개를 비롯한 남북경제협력사업은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의 부담을 줄이면서도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 이후 맞이하게 될 '밝은 미래'를 선제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점에서 남북미 모두에게 매력적인 방안"이라고 언급했었다.

/이상우 기자 jesuslee@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