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사용 시한이 임박한 수도권쓰레기매립지 대체 방안으로 최근 건설된 인천 신항 옆에 쓰레기투기장을 만들어 활용하는 방법을 검토한 것으로 드러나 파문이 일고 있다.
인천 앞바다에 제2의 수도권쓰레기매립지를 검토한다는 얘기다. 인천시민들은 그동안 내 집 앞마당에 서울과 경기도의 쓰레기를 갖다 버린 것도 모자라 이제는 인천 앞바다에까지 쓰레기를 갖다버리려한다며 공분하고 있다.

해양수산부는 지난 2016년 5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폐기물 해상 최종처리 기술 개발' 용역을 의뢰했다고 한다. 폐기물 해상 최종 처리지로 접근성과 운송비, 경제적 타당성 등 10개 항목을 고려해 인천 신항과 충청권, 부산권 등 6곳의 권역별 후보지 중 어디가 가장 적합한지를 알아봐 달라는 것이었다.

2012년부터는 하수처리 슬러지와 가축분뇨의 해양배출까지 전면 금지할 정도로 해양오염 방지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어오던 해수부 정책과는 맞지 않는 용역 과제였다. 결과는 인천 신항이 최적지로 나왔다.
2년여에 걸친 연구 끝에 지난해 말 나온 용역 최종보고서에서는 인천 신항 항만시설부지 옆 바다에 호안을 쌓아 여의도 면적의 3분의2 만한 1.8㎢의 처리장을 만들면 2026년부터 2045년까지 수도권에서 나오는 쓰레기폐기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했다. 2025년이면 사용이 종료되는 수도권쓰레기매립지를 대체할 수 있도록 인천 앞바다에 쓰레기투기장을 만들겠다는 정부의 뜻이 반영된 용역 결과처럼 보인다.

인천시와 경기도, 서울시는 사용 종료가 코앞에 닥친 수도권쓰레기매립지 대체지 확정 등이 더 이상 늦어져서는 안 된다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수없이 요구해 왔다. 하지만 환경부는 원론적인 입장만 내세우며 미온적인 자세로 일관, 이들 지자체의 애를 태우고 있다. 환경부가 이처럼 느긋한 이유를 이제야 조금은 알 것 같다.
제2의 수도권쓰레기매립장이 필요하다는데 이의를 달 사람은 없다. 육지든 바다든 적합하면 만들어야 한다. 하지만 그곳이 많은 예산을 들여 새로 건설한 항만과 송도국제도시 인근이어야 하는지는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