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정민 인천 옹진군수

옹진군과 옹진군민은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 이전으로 남게 되는 기존 건축물과 항만의 활용 방안에 대하여 인천의 상생발전과 연안여객 수송의 선진화, 도서물류 허브기지 조성 및 향후 남북 경제협력의 중심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연안여객터미널 이전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인천항만공사는 연안여객터미널 이전 요구는 일방적이고 갑작스러운 주장이라 치부하며 민민 갈등을 조장하고 부추기고 있다.
연안여객터미널과 그 주변은 섬 주민에게 있어 삶의 희로애락을 함께 한 내륙의 고향이자 삶의 일부이다. 지난 40년 동안 터미널 주변 상권을 형성하고 생활필수품과 어구 구입 등 소비창출로 지역 경제에 기여한 공동 경제의 공간이다.

또 섬 주민과 연안동 주민은 서로 간 깊은 애정과 관심으로 서로의 아픔을 보듬으며 지역 발전을 위해 함께 노력해 온 삶의 공동체이다.
그러나 인천항만공사는 이러한 섬 주민의 삶과 역사를 헤아리지 못하고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 결정과정에서 섬 주민의 의견은 묻지도, 청취하지도 않고 철저히 무시해 왔다.
인천항만공사는 이러한 절차상의 과오를 반성해야 하며, 섬 주민의 삶과 연안여객터미널과의 밀접한 관계를 깨달아 터미널 이전 요구가 섬 주민의 정당하고 당연한 주장임을 인정해야 한다.
인천항만공사는 항만시설의 개발 및 관리, 운영에 관한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여 인천항을 물류와 해양관광의 중심기지로 육성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기관으로서 그 맡은 바 소임을 다하여야 한다.
하지만 인천항만공사는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 용역 시 해양항만 전문기관을 용역에서 배제하고 부동산투자자문회사와 건축사를 참여시켜 매각을 결정함으로써 부동산투자회사가 아닌지 강한 의구심을 들게 했다.

이는 정부의 제3차 항만기본계획(2011~2020)에서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연안여객과 도서화물을 취급하도록 기능이 재편됐음에도 이를 무시하고 용역을 통해 매각을 추진하는 것은 국가 정책 기조에 반할 뿐만 아니라, 국내 어디에서도 매각의 전례를 찾아볼 수 없는 책임 있는 국가기관의 모습도 아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해당 용역이 공사의 수익 창출을 위한 용역이라고 의심받는 사유이다. 더욱이 지역발전과 인천항 개발보다는 그럴듯한 청사진으로 연안동 주민을 우롱하는 것은 아닌지 걱정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물론 인천항 내 석탄부두와 각종 혐오시설로 고통을 감수해 온 연안동 주민의 아픔은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연안여객터미널 이전 주장은 옹진군민의 이익만을 위한 것이 아닌 인천 해양발전의 미래와 섬 주민과 항만주변 주민들과의 상생발전을 위한 것이다.

인천항만공사가 주장하는 주상복합시설은 그 발전의 한계가 분명하다. 이는 지금까지 수많은 연안동 복합 상가가 성공하지 못하고 흉가처럼 흉측한 몰골만 남아 있는 현실과 지난 40년 동안 버스 등 대중교통 사각지대로 어떠한 발전 없이 정체되어 있음이 이를 증명한다.
인천항과 그 주변이 활성화되고 인천이 상생발전하기 위해서는 인천의 상징인 연안여객터미널을 더욱 발전시켜 개발의 기틀을 마련하고, 체계적인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혐오시설을 정비하고 친수 공간과 수산물 유통 물류단지를 조성해야 한다. 나아가 도시철도시설 도입으로 교통 환경을 획기적으로 개편해야 한다. 그 시작점이 연안여객터미널 이전인 것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이러한 연안여객터미널 이전 요구에 대한 본질을 깨닫지 못하고 터미널 이전 여론을 잠재우기 위해 연안여객터미널 대합실과 주차장을 확충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이는 임시방편에 불과할 뿐이다. 진정 인천항과 그 주변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여객증가 도모와 여객선 대형화 및 다양화에 대비한 선석 확보와 접안시설 확대도 같이 고민해야하기 때문이다.

이에 지금이라도 인천항만공사의 임시방편적 대안이 아닌 제1국제여객터미널 활용 방안에 대하여 연안여객터미널 이전과 주상복합시설 건설 등 어떠한 것이 인천항 발전을 위한 최선의 방안인 지 모든 가능성을 열어놓고 인천광역시, 중구,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공개토론을 다시 한 번 제안한다.
지난 5월 국회 정론관에서 공개 질의한 8가지 문항에 대한 인천항만공사의 조속한 답변도 촉구하는 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