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여년 동안 훼손되지 않고 보전돼 온 광릉숲이 공익사업이라는 미명 아래 훼손될 위기에 처했다. 광릉숲과 연계된 지자체가 이곳에 각종 시설물을 짓겠다고 하면서 광릉숲이 개발의 칼날 위에 선 것이다.
광릉숲은 조선시대 7대 임금인 세조가 생전에 즐겨 찾던 사냥터로 세조가 죽자 능을 조성하면서 광릉의 역사가 시작됐다. 이후 일제강점기에는 산림과 임업을 연구하는 시험림과 학술보호림으로 지정돼 보호를 받았다. 특히 해방이후 6·25 전쟁을 거치면서도 화재 한번 나지 않은 산림으로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 보전지역으로 지정되는 등 우리나라의 많은 수목원 중 으뜸가는 산림생태계의 보고다.
광릉숲은 포천시(73%), 남양주시(22%), 의정부시(5%)가 각각 행정구역상 면적을 보유하고 있다. 먼저 포천시가 44만㎡ 규모에 1425억원을 들여 섬유·가구산업에 디자인과 한류 문화를 접목한 융·복합단지를 2022년 완공하겠다는 계획이다.

남양주시도 59만㎡에 1260억원을 들여 2022년까지 지역에 분산돼 있는 가구공장을 집단화해 가구산업단지를 조성하겠다며 현재 타당성 용역이 진행 중이다.
의정부시는 장암동에 운영 중인 쓰레기 소각장을 광릉숲 인근인 자일동 환경자원센터로 이전해 하루 220t의 처리규모를 갖추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모두 광릉숲과 반경 5㎞거리다. 물론 지자체들이 필요한 산업단지와 환경자원센터를 세우는 것은 이해되지만 위치가 적절치 못하다. 우선 광릉숲은 경기북부의 허파와 같은 존재다. 이런 곳에 각종 시설물을 세운다는 것은 보상비에 따른 예산부담을 피하려는 각 지자체들의 꼼수에 불과하다.
환경전문가들은 광릉숲을 "반세기가 넘게 훼손되지 않고 잘 보전돼 있고 전 세계적으로 온대북부지역에서 찾아보기 힘든 온대활엽수극상림을 이루고 있는 생태적으로 매우 중요한 숲"이라고 평가한다. 숲은 가꾸는 것보다 보전하는 것이 더 현명하다.

선조들에게 540여년 전 물려받은 산소탱크를 훼손하는 우매한 결정을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 우리가 후손들에게 해야 할 의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