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부터 29회 수계 전환
역방향 압력·속도 지식 미비
관 흔들림 등 영향 고려 부족
유량·유속 폭증에 적수 발생
▲ 18일 세종정부청사 환경부 브리핑룸에서 열린 정부합동조사단의 '인천 붉은 수돗물사태'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 기자회견에 참석한 언론사 기자들이 열띤 취재경쟁을 하고 있다. /세종=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정부가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관련 원인을 발표하면서 인천시가 단수 제로화를 위해 무리한 수계 전환을 했다고 지적했다. 단수 문제에 집착하기보단 사전 대책을 수립하고 노후관 등 상수도 관리에 집중했어야 한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다.

환경부는 18일 "이번 사고는 단수로 인한 급수지역의 불편이 없도록 무단수 공급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안타까운 일"이라며 "무단수에 집착하기보다는 오히려 이러한 기회에 노후관 세척, 배수지 청소 등 수돗물 수질 개선에 도움 되는 일을 하는 방안도 적극 추진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환경부가 이날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에 대한 중간 조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인천시가 무단수 수계 전환에 목을 맸던 탓에 사전 대책을 수립하지 않고, 관로 관리에도 소홀했다고 지적한 것이다.

인천시의 단수 없는 수계 전환은 2015년 시작됐다. 이전에는 전기점검 등으로 인해 단수 조치가 불가피했다.

단수 기간 동안 시민들이 생활에 불편함을 느끼자 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송수관로와 배수지 등을 추가로 건설하면서 365일 단수 없이 수돗물 공급을 가능케 하는 기반을 구축해왔다. 이에 2015년부터 작년까지 총 29회 단수 없는 수계 전환이 있었다. 연간으로 따지면 7회다.

그러나 문제가 터졌다. 관 흔들림과 수충격 부하 등의 영향을 고려해 수계 전환이 이뤄져야 하지만 사전 대책이 없었다. 오히려 용수 공급은 평소 대비 205% 증가, 유속은 두 배 이상 증가하면서 다량의 침전물이 발생했다. 수계 전환을 하려면 전 과정에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한 데도 충분한 사전 대책 없이 이뤄지면서 붉은 수돗물 사태가 장기화 됐다.

전문가도 시가 수계 전환에 대한 전문 지식이 부족하고, 초동 대체도 미흡했다고 지적했다.

최계운 인천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수계를 전환할 때 압력을 가해 역방향으로 수돗물을 공급하는 데 그 압력의 정도와 속도 등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었다"며 "직원들의 대처도 미흡해 다시는 이와 같은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위기 대응 매뉴얼을 만들고 그에 따른 체계적인 대응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