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붉은 수돗물 사태가 길어지고 있다. 일부 지역이라고는 하지만 시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불편도 가중되고 있다. 당장 학교급식이 장기간 중단되고 있는 문제는 더 이상 방치할 수 없다. 이번주 들어서도 서구·영종지역 등에서 81개 학교의 급식 중단이 계속될 예정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번 사태에 대한 인천시의 대처는 답답하다 못해 시민들의 불안을 더 키우고 있다. 필터 교체비 등을 지원하고 차량으로 생수병들을 공급한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인천시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인천 수돗물의 품질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에 나서야 할 것이다.

인천시는 시민들에게 깨끗한 물을 공급하기 위해 2013년부터 고도정수처리시설 설치 사업을 추진해 왔다. 고도정수처리시설은 일반 정수 방법으로는 제거되지 않는 농약 등 유해 물질들을 처리하기 위해 활성탄과 오존처리법 등을 활용하는 정수 시설을 말한다. 보다 깨끗한 수돗물을 만들기 위해 2차례에 걸쳐 물을 더 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사업을 시작한지 6년이 지났지만 고도정수처리시설은 4곳의 정수장 중 겨우 2곳에서만 진행 중이거나 막 시작된 정도이다. 부평정수장은 활성탄 처리시설이 완공됐지만 오존시설은 아직 건설 중에 있다. 2016년에야 착공된 공촌정수장은 현재 1단계인 활성탄 시설을 설치하는 중이다. 나머지 남동·수산정수장은 아직 손도 못댄 상태다.
결국은 재원 문제다. 인천시는 고도정수처리시설 사업에 수백억원이 소요돼 국비를 지원받아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한다. 이번 사태를 맞아 이 사업의 조기 추진을 강조하고 나섰지만 추가경정예산 확보 등 구체적인 재원 조달 방안은 마련하지 않고 있다. 서울의 경우 이미 지역 내 모든 정수장에 고도정수처리시설의 도입을 완료한 것에 비하면 크게 비교된다.
물은 깨끗한 공기와 마찬가지로 시민들에게 원초적인 생존자원이다. 물 관련 전문가들은 국비 지원이 여의치 않거나 늦춰질 수밖에 없다면 인천시 예산을 투입해서라도 시급히 물 공급 체계를 업그레이드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 어떤 사업이나 복지보다도 우선순위가 더 앞서는 것이 바로 수돗물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