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말 문을 연 인천보훈병원 활성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국가와 사회의 안위를 위해 몸을 바친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의 진료와 재활을 위해 만들어진 공공의료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에 살고 있는 국가유공자와 유가족은 4만1000여명에 이른다. 서울, 부산, 대구 다음으로 많은 숫자라고 한다. 이들 국가유공자와 유가족들을 위한 보훈병원이 인천에 들어선 건 6개월 남짓된다. 전국 6곳에 있는 보훈병원 가운데 가장 늦게 설립됐다. 인천보훈병원이 지난해 말 인천 미추홀구 용현동 옛 군부대 부지에 들어서기까지는 14년이란 세월이 걸렸다고 한다. 그동안 인천에 살고 있는 국가유공자와 가족들은 아픈 몸을 이끌고 몇 시간이 걸려 서울 중앙보훈병원을 찾아야 하는 불편을 감수했다.

우여곡절 끝에 인천보훈병원이 문을 열기는 했지만 부족한 시설과 의료진으로 제 역할을 못하고 있다고 한다. 인천보훈병원은 종합병원급이지만 병상 수가 142개에 불과하다. 인천과 부천 등 수도권 북서부 거점 병원으로서 이용 대상이 25만여명에 달해 수요가 서울, 부산 다음으로 많지만 병상 수는 광주(658개), 대구(538개), 대전(393개) 보훈병원의 절반에도 못미치는 작은 규모인 것이다.

응급실이 없을 뿐만 아니라 진료과목이 18개에 달하지만 응급의학과나 한의과 등이 빠져 있다고 한다. 오랜 질환을 앓아온 고령 응급환자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가 어려운 여건이다. 재활을 위한 별도의 센터나 체육관도 없다. 장례식장이나 환자를 위한 편의시설도 부족하다고 한다. 보훈병원 이용 환자의 특수성이 반영된 의료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인천보훈병원은 전국 보훈병원 가운데 가장 최근에 설립됐으면서도 규모나 시설면에서 열악한 실정이다.

엊그제 (사)한국보훈학회와 보훈병원이 자리 잡고 있는 곳을 지역구로 하고 있는 윤상현 국회의원이 인천보훈병원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한 토론회를 열었다고 한다. 탁상공론에 그쳐서는 안된다. 성과를 보여야 한다.
6월은 호국보훈의 달이다. 국가유공자와 그 유가족들에 대한 보답과 예우는 국가와 사회의 책임이자 의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