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은 제13회 세계 실종 아동의 날이다. 실종 아동의 날은 실종아동 모두가 무사히 돌아오기를 기원하는 날이다. 소중한 가족의 의미를 되새기는 가정의 달 끝자락에 실종아동의 부모들로서는 다시 한 번 가슴이 미어지는 날이다.
보건복지부와 경찰청에 따르면 2014~2017년까지 우리나라에서는 5년간 연평균 2만건가량 실종 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지난해 접수한 실종아동 신고 건수는 2만1980건이었다. 안타까운 현실이다. 지난해 실종 신고된 만 18세 미만 아동 가운데 지난달 30일 기준으로 46명은 아직 가족의 품으로 돌아오지 못했다. 신고 접수 48시간이 지난 뒤에도 발견되지 않아 장기실종으로 남아있는 경우는 모두 643명인데, 20년 넘게 가족 얼굴을 보지 못한 이별도 449명(4월말 현재)이나 된다고 한다.

경찰청은 실종 아동 수색·수사와 함께 조기 발견을 위해 유전자 분석과 지문 등 사전등록제도와 유전자 분석을 운영해 실종 어린이 발생률이 14.6% 감소했다고 한다. 유전자 분석을 통해서는 매년 50~60명의 실종자가 가족과 상봉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유전자 분석과 사전등록제 외에 실종아동 찾기는 인공지능(AI)까지 접목해 가족들에게 희망감을 더욱 높여주고 있다. 실종 아동 가족들에게는 다소 희망적인 뉴스가 아닐 수 없다.

실종 아동 사건이 빈발하고 있는데는 국가의 책임이 크다.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 하는 책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한 해에 평균 2만건씩 아동 실종 사건이 발생한다고 하니 도저히 납득할 수 없다. 1년에 2만명씩 이산가족이 생기는 데 국가는 방조하고 있는 것이다. 즉 국가가 책임을 다하지 못하고 있다는 방증이다.
또 허술한 사회안전망도 문제다. 이제라도 국가와 사회는 책임감을 갖고 실종 아동찾기에 적극 나서야 한다. 그리고 실종아동도 더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생이별로 매일매일을 눈물로 지새운 부모들의 심정을 헤아려야 한다. 많은 가족이 여전히 돌아오지 않은 아이를 애타게 기다리고 있다. 국가는 더이상 실종아동 문제를 소홀히 다뤄서는 안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