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서구 수도권 쓰레기매립지의 사용 중단 기한이 2025년으로 다가오지만 서울·경기 등 3개 시·도의 대체매립지 확보가 불투명하다. 또 동구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유치와 관련 주민 반발이 거세다. 이런 가운데 박남춘 인천시장은 19일 일본 요코하마 미나미혼모쿠 폐기물 최종처분장과 토츠카 재활용품 자원선별센터, 오사카 연료전지발전 실증단지 등을 둘러보는 출장길에 올랐다.
박 시장의 선진 폐기물 처리 시스템 벤치마킹 결과가 어떻게 적용되고 활용될 것인지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킨다. 특히 항만 외곽 바다에 차수벽을 설치하고 소각재를 매립하는 미나미혼모쿠 폐기물 해상 처리시설은 눈길이 가는 부분이다. 요코하마와 입지가 비슷한 항만도시 인천으로서는 충분히 고려할만한 가치가 있어 보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물론 중앙정부의 지원과 주민 반발이 예상되는 소각장 확충 등이 선결 과제로 떠오른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면서 우리가 생산해 내는 쓰레기는 더 이상 폐기물이 아닌 순환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게 됐다. 하지만 일본에 비하면 재활용 수거 체계도 허술한 수준이다. 가까운 예로 용기의 뚜껑과 라벨을 분리해 배출하는 일도 익숙하게 이뤄지지 않는 게 현실이다. 자원순환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우리들의 노력이 좀 더 수반되어야 한다.
인천은 재활용이 가능한 순환자원 시스템을 강화해 재활용 폐기물 매립 제로화 실현이 최종 목표이다. 내년 3%, 2025년 제로화 목표 달성을 위해 현재 56.7%의 재활용률을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것이다. 일본은 재활용품의 수거방식을 개선 실천하고, 품목별 수거일과 요일을 지정해 일상화 했다. 수거차량도 압축 구조가 아니어서 재활용률이 80%대를 상회한다.

우리도 수거방식을 좀 더 개선하고 실천한다면 자원순환 환경 사회에 얼마든지 가까이 갈 수 있다. 재활용은 경제성도 높다. 재활용품 선별 비용도 일본은 1t당 3만원대이지만 인천 등 한국은 26만원대로 격차가 크다. 박 시장의 이번 일본 폐기물 처리 지역 방문에서 얻은 아이디어들이 인천 자원순환형 도시 육성에 접목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