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석대 교수 마인드웰심리상담센터 상담사

자기심리학자 코헛(Kohut)은 아이들이 자라면서 인식하는 정상적인 자기애성은 매우 중요하다고 말한다. 보살피는 사람이 아이의 욕구에 민감하게 반응해 관심과 애정을 줌으로써 갖게 된다. 자신이 이 세상에서 최고라는 전능감을 획득하는 것이다.
그러나 아이가 서너살이 되면 말을 시작하고, 어린이집도 가게 돼 다른 친구들과 관계를 맺는다. 관계를 한다는 것은 서로의 욕구와 입장을 배우면서 내 마음대로 하고 싶지만 잘 안되고 어렵다는 것을 알기 시작하는 단계다. 그래서 코헛은 건강한 아이의 발달에 적절한 좌절 경험으로서 '최적의 좌절경험'이 필수적이라고 한다.

부모가 아이의 욕구나 기대를 모두 채워주기만 하면 버릇없는 아이로 성장할 수 있다. 자신의 욕구충족을 위해서는 한계를 모르고 무엇이든지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거대 자기'와 싸워야 한다. 유치원 시기가 되면 아이와 엄마는 각자의 욕구가 상충 대립되기도 하여 아이는 야단을 맞기도 하고 상처를 받기도 한다. 아이는 자신의 한계와 외적인 것들을 받아들이는 수용능력이 생기게 된다. 최적의 좌절경험은 오히려 아이에게 한계 설정과 현실 능력을 키워줄 수 있다.
아이가 욕구 좌절로 짜증내고 변덕스러운 아이일지라도 엄마는 일관성 있게 다가가서 마음을 어루만져주고 헤아려주는 공감적인 태도를 보여야 하는데 엄마가 더 화를 내며 아이를 내쳐버리면 아이는 마음의 문을 닫고 엄마를 밀어내고 거부하게 된다. 아이는 엄마의 돌봄 속에서 공감을 먹고 자라야 내면이 튼튼하고 정서가 안정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 이렇게 발달한 적절한 자기애는 자아존중감이라는 건강한 성격의 소유자를 키운다.

정상적인 자기애의 발달을 위해서는 반드시 부모의 공감적인 반영이라는 양분을 먹고 자라야 한다. 또한 최적의 좌절 경험을 하도록 한계설정을 분명하게 해줘야 한다. 이 두 가지 기능을 엄마나 아빠가 둘이서 균형을 이루면 더욱 좋다. 엄마는 정서적인 부분을 다뤄주고 아버지는 한계지정과 규칙을 지키도록 하는 엄격함으로, 때로는 부부가 개인적인 특성에 따라 역할을 바꾸어도 된다.
이때 부모가 보여주는 일관적인 지지나 애정은 원초적인 전능감의 건강한 측면을 지켜주는 중요한 요소이다. 아이는 내가 괜찮고 소중한 대상이라는 것을 엄마를 통해서, 자신의 한계를 받아들일 수 있는 현실적인 사고를 아빠를 통해서 건강한 자아정체성의 뿌리를 내릴 수 있다.
1997년 일본을 놀라게 한 야구방방이로 아들을 죽인 아버지 사례를 보면 고등학교 2학년 아들은 집안에서 폭력행세를 하면서 엄마, 아버지 여동생 모두를 장악해버렸다.

아버지는 아들의 폭력 행동에 맞서기보다는 슬슬 회피하고 본체만체 한 것이 화근이었다. 폭력에 시달린 엄마와 여동생은 집을 떠나 도망갔으나 남아 있던 아버지는 아들 눈치에 비위를 거슬리지 않게 하려다가 결국, 억눌린 분노에 사로잡혀 아들을 살해하는 사건이 발생하게 된 것이다.
가정에서는 무관심의 아버지보다 차라리 권위적인 아버지가 더 기능적이다. 무능력하고 훈계를 하지 못하는 아버지, 자녀 비위만 맞추려는 아버지, 말과 행동이 다른 이중적인 아버지는 매우 자존감이 낮은 아버지이다.

모든 것을 포장해 실제의 모습을 감춘 채 나쁜 아버지가 될까 두려워 전전긍긍하는 모습, 싫어도 거절하지 못하고 단호하지 못하는 아버지, 그런 모습을 보는 아들은 죽기보다 더 싫은 모습이고 내안의 아버지를 없애버리고 싶은 감정이다.
코헛은 유아기에 적절한 좌절 경험이 없거나 또는 좌절 경험이 너무 심하면 자기애성 성격장애로 발전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자기애성 성격은 자기를 완성하고 보상하는데 필요한 이상화된 자기대상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것이다. 부모의 지지와 공감이 배제됨으로써 상처받은 자기의 부족감을 극복하려는 시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