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2017년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조례' 제정했지만 공간 조성은커녕 현황 파악도 안돼…"실태조사 실시해야"

"제대로 된 예술 교육 받고 싶죠. 그런 곳이 있나요. 장애 예술을 위한 연습공간이나 창작공간은 꿈도 못 꾸죠. 장애 예술과 관련된 곳이 서울에 집중돼 있다 보니 큰맘 먹고 가기도 힘들죠. 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현실은 언제나 개선될까요."

벅찬 세상에서 장애인의 예술 혼은 쉽사리 꺼진다. 그들에게 예술은 잡히지 않는 신기루와 같다. 더구나 장애 예술인 현황조차 제대로 파악되지 않아 체계적 지원은 기대하기 힘든 상황이다.

어김없다. 예상됐다. 그래서 더 실망스럽다. 장애 예술을 바라보는 인천시의 행정을 일컫는다.

2019년 5월 현재 인천의 장애 예술인은 몇이나 될까. 아무도 모른다.

9일 인천시에 따르면 2017년 '인천광역시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조례'가 제정됐다.

이 조례는 아직 무용지물이다.

이 조례에 따르면 5년마다 '인천시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 지원 기본계획'을 세워야 한다. 이 계획을 통해 인천의 장애문화예술 육성 및 창작 지원은 물론이고 목표와 방향을 수립해 장애인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토록 했다.

특히 '장애인 문화예술교육지원기관'을 설치해 장애인 문화예술 교육 및 홍보, 장애문화예술인 육성 및 창작 지원 등을 펼치도록 했다.

시는 "장애인 문화예술 관련 조례가 제정됐지만 아직 관련 정책이 본궤도에 오르지는 못했다"며 "인천지역 장애 예술인의 현황을 파악은 아직 준비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시는 지난해부터 장애인 문화예술 지원을 위해 예산을 세웠다. 2018년 5000만원, 2019년 7000만원으로 인천문화재단이 위탁 운영 중이다.

2008년 제정된 장애인 차별금지법, 2014년 문화다양성보호와 증진에 관한 법률이 토대가 돼 지난 2015년 설립된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 그러나 서울에 위치해 인천지역 장애인이 문화예술을 영유하기에는 힘들다. 장애인 창작공간 역시 서울에 몰려 있어, 그림의 떡이다.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의 오세형씨는 "장애 예술인 정책 전개를 위해 최우선으로 선행돼야 하는 과제가 장애 예술인이 얼마나 있으며 어떻게 활동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실태조사"라고 꼬집었다. 그는 또 "지금까지 정책의 기반이 '장애'라는 복지의 관점에서 펼쳐졌다면 '예술'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장애를 지닌 예술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에 대한 기본적인 조사와 연구가 다양하게 펼쳐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관이 아닌 민간 영역에서 자생적으로 커간 장애 예술사업, 영종도에 위치한 ㈔꿈꾸는 마을은 "음악을 통해 발달장애인 예술가와 비장애인 예술가의 협연을 통해 발달 장애인 예술가들의 창작 의욕을 높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시는 "장애 예술 지원사업이 아직 초기단계로 아직까지 장애인 예술가가 주도적으로 참여하기보다 단순 참여형 프로그램 수준에 그쳐 장애인예술가 역량 강화 지원 병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이주영 기자 leejy96@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