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소특구를 잡아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단 10개만 선정하는 강소특구(고밀도·소규모 연구개발특구)를 차지하기 위한 지자체들의 물밑 싸움이 본격화되고 있다.

인천시는 서구 환경산업연구단지 일대를 국내 환경산업의 혁신 성장 전진기지로 조성하고자 환경부와 손잡고 강소특구 쟁탈전에 뛰어든 상황인데, 지방도시들의 관심도가 워낙 높아 수도권 규제까지 신경 써야 할 판이다.

8일 시에 따르면 과기부는 지난해 7월 '연구개발특구의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우수한 기술 역량을 보유한 핵심기관을 중심으로 강소특구를 조성한다는 내용을 고시했다.

이에 경북 포항 등 7개 지역(지방 6곳·경기 1곳)이 강소특구 지정을 신청했고, 과기부는 오는 8월 중 1차 선정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들 지역의 연구·개발(R&D) 콘셉트는 인공지능(AI)과 바이오, 스마트 제조, 반도체, 에너지, 항공·우주 부품 등 다양하다.

강소특구는 대덕연구개발특구 등 기존 연구개발특구의 장점을 극대화하고 규모를 소규모화한 형태로, 특구 안에선 입주 기업과 연구소들이 연구개발(R&D)비용을 최대 80%까지 국비로 지원받게 된다. 각종 세금 감면 혜택도 누릴 수 있다.

특히 연구·개발로 신기술을 만들어낸 뒤 그 기술을 토대로 현장에서 제품을 생산하는 등 연구단지와 산업단지를 하나로 묶어 한 공간에서 기술 사업화 과정이 실현되도록 해,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전국 지자체들이 강소특구에 관심을 갖는 이유다.

현재 시는 환경부와 함께 서구 환경산업연구단지와 검단2산업단지를 거점으로 한 1.9㎢ 규모의 강소특구 지정을 추진 중이다. 명칭은 '에코사이언스파크'다.

연말까지 특구 개발계획 및 육성 종합계획을 수립해 강소특구 지정을 신청할 계획이다.

시는 인천형 강소특구가 조성되면 환경산업의 혁신 성장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국내 환경기술은 선진 기술을 보유한 미국과 비교해 기술 격차가 4년 이상 벌어졌다는 지적이 나온다.

가장 큰 걸림돌은 치열한 경쟁률과 수도권 규제다. 당장 강소특구 선정엔 총량제가 적용된다. 과기부는 전체 강소특구 규모를 20㎢로, 지역별 최대 면적은 2㎢로 규정한 상태다. 10개 지역만이 강소특구로 지정될 수 있다는 것이다.

과기부가 올 하반기 4개 지역을 선정하게 되면 6개 지역의 몫만 남게 된다. 결국 시가 6개 몫을 두고 다른 지역들과 치열한 경쟁을 펼쳐야 한다는 얘기다.

그동안 정부가 연구개발특구 선정 시 균형 발전 차원에서 지방을 우대해왔다는 점도 리스크로 작용할 수 있다. 실제 기존 연구개발특구가 자리한 5곳은 대전과 광주, 대구, 부산, 전북 등이다.

시 관계자는 "다른 지역들도 강소특구에 지대한 관심을 보이는 만큼 강소특구 지정 신청서를 철저히 준비해 2차 선정 때 반드시 지정받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