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광덕 북부취재본부 부장

양주시가 축사 악취 민원으로 16년째 동두천시와 갈등을 빚고 있다.
양주 지역에서 발생하는 축사 악취로 인근 지역인 동두천 주민들이 고통을 받고 있어서다.
축사 밀집지역인 양주 하패리에는 축사 19곳과 음식물 처리업체 2곳이 있다. 여기서 2㎞가량 떨어진 동두천 생연·송내동 일대에는 지난 2003년 대규모 아파트가 들어섰다. 현재 이곳엔 동두천시 전체 인구의 40%가량인 4만여 명이 거주하고 있다.
이 지역 주민들은 축산 단지에서 넘어오는 축사 악취로 고통을 받고 있다. 한여름엔 창문조차 열지 못할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악취로 인한 고통을 이겨내지 못한 주민들은 하나 둘씩 이곳을 떠났다. 참다못한 주민들도 정부와 경기도, 지자체 등에 악취 문제해결을 지속적으로 호소해 왔다. 그러나 속시원한 해결책은 없었다.
악취발생 지역과 피해 지역이 달라 악취 해결 방안에 대한 지자체 간 이견이 생겼고, 그동안 해결 방안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었다. 실제 동두천은 주민들의 민원 해결을 위해 악취 저감, 폐업 보상 등을 추진했다. 하지만 양주는 하패리 일대에 양주시민들이 거의 살지 않고 있는 등의 이유로 예산투입을 부담스러워 했다.
상황이 이렇자 도는 지난 2012년 도비 40억원과 양주·동두천시가 각각 8억원 등 56억원 을 투입해 11개 축사에 대한 폐업 보상을 했다.

주민들의 민원을 해결하기엔 역부족이었지만 해결의 실마리가 풀릴 듯했다. 그러나 근본적인 해결이 되지 못하면서 지자체 간 갈등은 16년째 이어져온 실정이다. 악취로 인한 민원도 끊이질 않았다. 지난해 국민권익위원회에 접수된 민원은 50여건에 이른다.

결국 지난해 5월 도가 나서서 관련 전문가와 공무원 등이 참여하는 축사악취 개선 TF 팀을 구성해 합리적 방안을 논의했다. 같은해 8월엔 이재명 도지사가 현장을 방문해 실태를 파악하고 조속한 문제해결을 주문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양주시는 지난해 8월 은현면 하패리 일대 330만㎡ 부지에 총 1조3000억원을 들여 2023년까지 복합물류단지를 조성하겠다고 경기도에 건의했다.

해당 부지가 남북 연결의 핵심축인 경원축에 있고, 동두천 국가산업단지 등 인근 19개 산단과 가까워 물류단지 연계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그러자 도는 사업의 현실성이 크게 부족하다며 이를 반려했다.
시가 선정한 하패리 일대엔 물류 인프라가 전혀 없는데다, 1조3000억원이 드는 대규모 사업에 마스터플랜도 제출하지 않았다는 이유다. 그러면서 도는 악취 민원을 해결하기 위해 물류단지를 조성하면 또 다른 민원이 발생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악취민원 해결을 위해 꺼내 든 복합물류단지 조성사업은 헛된 꿈이 됐다.
1조3000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을 준비하면서 구체적인 계획조차 세우지 않고 무작정 지원을 요청하는 사업이 과연 타당한지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