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계 "경영난에도 남발" 비판
기획재정부가 시내면세점의 신규 허가(특허)를 내주기 위한 보세판매장 제도운영위원회의 논의를 발표한 시점에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9월말 영업 종료를 결정해 파문이 번지고 있다. <인천일보 4월30일자 6면 보도>

사업기간 도중에 허가를 반납하고 영업중단을 선언한 대기업 사업자가 나온 마당에 최근 기재부가 내놓은 '시내면세점 허가 추가' 발상에 대해 비판의 목소리가 거세다.
1일 업계는 한화를 빼고도 경영난을 겪는 시내면세점이 적지 않다는 점을 들어 정부가 시내면세점 허가를 남발한 결과라고 지적하고 있다.

'면세점 대전' 경쟁을 치르고 2015년 특허를 취득한 한화가 첫 번째로 이탈한 것을 놓고 업계의 면세시장에 대한 어두운 전망을 내놓고 있다. 중소·중견면세점을 중심으로 이탈자가 1~2곳 더 나올 가능성도 크다.
한화는 지난달 29일 이사회를 열고 시내면세점(63빌딩)의 영업 철수를 결정했다. 한화의 면세점 특허 반납은 처음이 아니다. 지난 2017년에도 제주공항 면세점을 조기에 종료한 바 있다.

일단 기재부는 계속 시내면세점 신규 허가를 남발해 면세시장 혼란을 야기하고 애물단지로 전락시켰다고 비난의 중심에 선 모양새가 됐다.

이미 2016년 4월에도 기재부는 서울에 시내면세점 4곳을 추가하는 좌충수를 뒀다. 이때 후발주자로 시장에 뛰어든 대기업들의 경영난은 현재까지 진행형이다. 두타면세점은 3년간 영업적자 600억원, 현대백화점면세점도 지난해 418억원의 영업 손실을 봤다.

불과 3년만에 시내면세점은 6개에서 13개로 2배 이상 급증해 대기업 사업자들 간 적자경영 경쟁을 초래한 것이 원인이라고 업계는 설명한다.

현재 업계는 다음달 보세판매장 제도운영위원회를 열어 시내면세점 추가를 논의하려는 기재부에 시선이 쏠려 있다. 총체적 난국에도 시내면세점을 늘리려는 행보에 부정적인 시각이다.
한편 관세법 시행령은 광역자치단체 별 시내면세점 매출이 전년 대비 2000억원 이상, 외국인 관광객이 20만명 이상 증가시 신규 특허 발급이 가능하다.

/김기성 기자 audis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