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민 '자연장' 선호 하지만 봉안 여유 2028년 한계
바다장, 시설 필요없고 산골 제한지역서 빠져 대안으로

묘지 및 봉안당 등의 공급 부족 문제가 대두된 가운데 자연친화적 장례를 치를 수 있는 '바다장'이 해양도시 인천의 새로운 장례 트랜드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1일 통계청의 '2017년 선호 장례 방법 통계'에 따르면 19세 이상 인천시민의 자연장(수목장·잔디장 등) 선호도는 43.8%로, 봉안당 선호도 44.6%에 이어 2번째로 높았다.

자연장 선호 비율은 19~59세에서 가장 높아 장기적으로 자연장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2017년도 기준 인천지역의 자연장 여유 봉안구 수는 2만6530구에 그쳐 다른 봉안 방식과 비교하면 여유분이 없는 상태다.

인천연구원의 '인천시 장사시설 수급에 대한 중·장기계획 수립 연구' 결과 자연장의 누적 봉안 수요는 2028년 2만6746구로 한계에 부딪칠 전망이다.

이에 따라 특별한 시설이 필요없는 바다장이 자연장 수요를 대체할 것이라는 관련 업계의 전망이다.

현재 해양장은 '장사 등에 관한 법률'에서 산골(散骨) 제한지역에서 빠진 상태다. 해양수산부는 2012년 유권해석을 통해 해양산분이 '해양환경관리법' 상 해양투기 규제 대상이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해 해양장의 길목을 터줬다.

이 같은 시대 변화에 따라 해양도시 인천지역에서 바다장은 꾸준히 늘고 있는 추세다.

2014년 연안부두에서 바다장 업무를 시작한 ㈜푸른의 경우 2014년 1088건에서 지난해 2720건으로 2.5배 가량 업무가 늘었다.

관련 업계에서는 전국적으로 바다장이 올해 2만건 가량 될 것으로 추정하고 이 수치는 급격히 늘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는 화장중심의 장례문화가 급속히 정착되고 자연장 선호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1993년도 19.1%에 불가했던 화장률은 2016년 82.7%로 20여 년 만에 4배 넘게 증가했다. 사망자 5명중 4명이 화장하는 보편적인 장례문화가 된 것이다.

특히 인천 91.2% 등 대도시의 경우 대부분 화장으로 장례를 치르고 있다.

보건복지부 장사지원센터 한국장례문화진흥원은 관계자는 "화장중심의 장례문화가 자리를 잡아 가면서 바다장 등 자연장 선호도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며 "현재 바다장의 경우 산골제한지역에서만 빠져 있을 뿐 선박 관련 규정 등은 아직 정비할 부분이 많이 있다. 법적 근거를 명확히 하면 바다장이 자연장의 대안으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산골 散骨: 시체를 불에태워 뼛가루를 뿌림>

/김칭우 기자 ching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