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지역화폐가 본격적으로 확대 발행된 지 벌써 한달을 맞았다.
복지와 지역경제가 선순환하는 모델로 평가받는 지역화폐는 도내 31개 모든 시·군에서 순차적으로 발행되고 있다고 한다.
지난 24일까지 발행된 올해 경기지역화폐는 439억9000여만원 규모다. 이 중 71%인 312억8000여만원이 사용됐다고 한다. 다만 아쉬운 것은 지역별 도입 시기와 정책 의지, 지역 특성 등에 따라 지역별 발행금액과 사용률의 편차가 크다는 점이다.

가평군은 4억3058만원을 발행해 97%인 4억1740만원, 안양시는 48억6215만원을 발행해 90%인 43억8193만원을 각각 사용했다.
도내에서 처음 지역화폐를 도입한 성남시도 올해 들어서만 212억6195만원을 발행해 84%인 179억6186만원을 사용하는 등 높은 사용률을 보이고 있다.
하지만 광주·남양주·수원·용인·의정부·이천 등 일부 시·군은 사용률이 아직도 10%를 밑돌고 있다고 한다. 다행스러운 것은 이처럼 사용률 편차가 차이 나는 것이 정책적인 문제점이 아닌 지급 시기 등의 단순 절차 문제로 내다보고 있다는 점이다. 지역화폐가 일정 부분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대안 중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 경기가 어려울수록 부유층으로 흡수되기만 하는 돈을 영세상공인과 서민들에게까지 돌게 하는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지역화폐에 대한 한계도 있고 걱정도 있다. 시민들의 요구보다는 행정 주도로 진행되다보니 자칫 행정적 지원이 끊어지는 순간 지역화폐가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다. 이런 우려를 잠식시킬 수 있는 방법은 결국 이용자인 시민과 지방정부, 지역상권의 공감대 형성이다. 지역화폐를 어느 범위까지 유통시킬지, 또 할인율을 얼마까지 할 지 등에 대한 토론과 합의는 절대적이라는 것이다.

사회적 신뢰를 쌓고 시민이 참여하는 순환경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주민의 참여가 가장 중요하다.
이제 막 첫걸음을 뗀 경기지역화폐다. 성공적으로 정착만 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소상공인 매출 증대에도 큰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그만큼 거는 기대도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