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당자 하루 전화 문의 수백건
대부분 "왜 못받냐" 불만 항의성
주체측 사전 준비 미흡 측면도
읍면동선 전문적 처리 어려움

"각자 다른 사연을 가진 청년들이 너무 많다보니, 저희가 싫은 소리를 많이 듣네요. 간절함이 좌절된 그들의 마음은 오죽하겠어요."

24일 오전 수원시 청년정책관 소속 직원들은 '요즘의 업무'를 이렇게 표현했다.

이들은 경기도의 '청년기본소득(일명 청년배당)' 시행 후, 어느 때보다 바쁜 날을 보내고 있다.

담당자 한명이 하루 200~300건의 문의 전화를 받을 정도로 업무량이 폭발하고 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전화의 대부분이 비슷한 유형의 반복성·항의성을 띈 민원이다.

"어떻게 신청하면 되느냐"는 절차에 대한 문의부터, "홍보가 부족한 것 아니냐", "지원이 너무 느리다"는 등 지적을 하는 문의가 매일 불같이 쏟아진다.

청년이 지원 기준에 못 미쳐 불만을 토로하는 상황은 직원들을 난감하게 한다. "작년에는 사업을 왜 안 했냐", "기준을 왜 이따위로 만들었냐"는 등의 문의가 있으면 담당 직원은 진땀을 뺀다.

무작정 고함부터 지르는 등의 일부 악성 민원은 직원들에게 상처를 주고 있다. 청년이 아닌 부모가 다짜고짜 "왜 우리 애가 지원을 못 받냐"고 버럭 화를 내는 경우도 있다.

수원시 관계자는 "폭주하는 민원보다도, 잘 몰라서 지원받을 수 있다고 기대했던 청년이 좌절하는 걸 느끼는 게 힘들다"며 "사업 자체가 워낙 크고, 급하게 추진돼 이런 일이 나오는 것이 아닌가 싶다"고 토로했다.


청년 인구가 많은 경기도내 지자체들은 청년기본소득과 관련한 각종 민원과 '전쟁'을 치르는 중이다.

단순히 관심이 커서 그럴 수 있지만, 추진 주체인 도의 사전준비가 미흡해 빚어진 측면도 있다.

수원시를 비롯해 고양시, 용인시에는 하루 적게 100건 정도, 많게는 300건까지 문의전화가 오고 있다.

도내에서 지원대상자 청년이 가장 많은 순으로 1위부터 3위에 해당하는 지자체다.

이처럼 상당한 민원과 달리 인력은 열악하다. 수원시 2명, 고양시 1명, 용인시 3명으로 각각 전담직원이 있다.

도에서 사업비(70% 비율) 지원 외에 인력에 대한 지원은 하지 않아 충원이 어렵다는 게 지자체들의 입장이다.

게다가 전담팀마저 없는 지자체는 청년상담 업무를 본청이 아닌 읍·면·동으로 이양해 전문적인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자체들은 청년기본소득의 시행 전부터 이 같은 상황을 우려했으나 도는 아직까지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않은 상태다.

또 사업 시행일이 며칠 남지 않은 가운데 보건복지부와 협의가 완료되는 등의 이유로 충분한 홍보도 이뤄지지 않았다.

고양시 관계자는 "안내도 안내지만 검증이나 대상자 선정 등 업무가 다양하다"며 "도에서 자원 인력에 대한 예산을 편성해주면 보다 나은 서비스 제공이 가능하다고 본다"고 제안했다.

도 관계자는 "협의 등 과정에서 계획된 일정에 차질이 생겼고 갑자기 사업이 시행돼 홍보기간이 짧을 수밖에 없었다"며 "서포터즈 등 인력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청년기본소득의 대상은 도내에 3년 이상 거주(주민등록)한 만 24세 청년이다.

도는 대상에게 분기별 25만원씩, 연간 100만원을 지역화폐로 지급한다. 현재까지 신청률은 40% 미만으로 알려졌다.

/김현우·김도희·김채은 인턴기자
kimhw@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