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와 경기도의 연안·해양을 하나로 묶어 공존경제해역권으로 설정해 지역 발전을 선도해 나가야 한다는 제안이 주목 받고 있다. 시공간적으로 흩어져 있는 다양한 지역 해양 가치들을 융합해 해양경제 중심도시로 나아가야 한다는 주장이다. 귀담아 들어볼 만한 제안이라고 생각된다. 인천과 경기도는 한강 하구와 경기만이라는 해양친화적 입지를 공유하고 있다. 이는 앞으로 지역발전 전략을 광역화할 경우 더 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는 의미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지역 해양수산 혁신 사업 발굴과 추진 방향'이라는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이 보고서는 해양수산부에 전달돼 정책 수립시 지침이 된다. 보고서는 전국 연안과 해양을 6개의 광역해역권으로 설정했다. 공존경제해역권(인천·경기), 환황해연계해역권(충남·전북), 섬·신경제해역권(전남·경남), 동북아거점해역권(부산·울산), 심해북방해역권(경북·강원), 청정·평화해역권(제주) 등이다.
공존경제해역권으로 설정된 인천·경기는 경기만을 공유하면서 수도권의 경제활동을 떠받치는 해양경제권역이다. 경기만에는 갯벌과 도서, 하구 등 보존 가치가 높은 자연환경이 분포돼 있다. 옹진군 장봉도 등 4곳의 해양보호구역도 지정돼 있다. 특히 인천은 인천항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동북아 물류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보고서도 해양 물류 네트워크와 항공 물류 네트워크 등 융복합 물류 기반이 구축돼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경기는 제조업 중심의 국가산업단지도 많이 분포돼 있다. 보고서는 인천·경기 해역이 보유한 경제적·생태적·관광적 가치를 융합해 해양경제 중심도시로 도약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산업화 시대이래 해양수산 정책은 국가가 주도해 왔다. 국가 전체의 해양 경쟁력에는 성과가 있었지만 지역 해양경제의 발전은 간과돼 온 측면이 있다. 경기만이라는 바다를 공유하는 인천과 경기도의 해양경제권을 큰 시작으로 짚어 본 이번 연구는 충분히 의미가 있다. 문제는 이 과제를 얼마나 구체화하느냐의 여부다. 정부는 이같은 제안의 취지를 정책에 충분히 반영해 수도권 해양 경제권의 육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