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으로 유입되는 중국발 미세먼지 문제가 심각한 국가적 해결 과제로 떠오른 가운데 정부와 인천시가 머리를 맞댔다. 인천에 다중 미세먼지 측정망을 설치하고, 한·중 공동 예보시스템 등을 구축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중국의 미세먼지 원인과 한반도 유입 과정을 규명해 종합적인 해결 방안을 모색해 나가기로 했다.

지난달 6일 인천은 전 세계 주요도시 중 최악의 대기 질 도시 2위에 오르기도 했고, 초미세먼지 발령 최장기록 등 미세먼지 대응에 속수무책이었다. 하지만 이번 정부와 인천의 조처는 중국발 미세먼지 농도를 저감해야 되겠다는 강력한 의지로 풀이된다. 근래에 올수록 중국의 미세먼지 위험은 심각한 수준이다. 중국은 세계보건기구(WHO)의 대기질 기준에서 1% 미만에 있는 대도시가 수백 곳에 이르고 있는 형편이다.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한·중이 적극 나서야 할 이유이다.

이번 인천이 수립하는 미세먼지 대책은 국고신청이 509억원에 이르고, 시·군·구비 예산 등 총 1016억원이 투입되는 대규모 사업인 만큼 기대 또한 크다. 미세먼지를 확실하게 잡아 일상생활의 지장을 말끔히 치웠으면 하는 바람이다. 인천은 우선 '취약계층의 건강을 위한 미세먼지 측정망 설치' 사업에 공을 들일 전망이다. 미세먼지 차단 숲을 조성해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를 30%정도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시내버스 배기가스 차단 필터도 설치할 방침이다. 중국 톈진시는 인천보건환경연구원과 환경공동연구센터 건립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인천의 미세먼지 원흉으로 지목되는 항만과 산업시설을 오가는 화물트럭의 폐해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 화물트럭이 도심을 횡행하며 날리는 비산먼지 발생에 따른 교통 개선책도 반드시 마련돼야 할 미세먼지 정책 중 하나이다. 이번 기회에 근본적인 미세먼지 저감 대책이 강구되길 기대한다. 인천과 얼굴을 맞댄 중국 연안의 석탄 소비량이 폭발적인 증가 추세이다. 그 영향이 지속적으로 한반도에 유입되고 있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한다. 미세먼지 대책에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는 만큼 중국과의 미세먼지 해결 협업과 함께 인천의 미세먼지 환경을 면밀히 점검해 주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