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MI 최종보고서 발간 … 정부 정책과제로 추진을
"인천·경기 가치 아울러 해양경제중심도시 도약"
공존경제해역권 기본구상도 /제공=한국해양수산개발원
공존경제해역권 기본구상도 /제공=한국해양수산개발원

 

인천·경기의 연안과 해양을 하나로 묶는 '공존경제해역권' 설정안에 지역사회의 관심이 모이고 있다.
시공간적으로 흩어져 있는 다양한 해양 가치들을 어우러지게 해 해양경제 중심도시로 나아간다는 점에서 정부 정책 과제로 추진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인천일보 2월26일자 3면>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최근 '지역 해양수산 혁신 사업 발굴과 추진 방향' 최종보고서를 발간했다고 23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해양수산부에 전달돼 정책 수립 시 참고용으로 쓰이게 된다.

보고서는 전국 연안과 해양을 6개의 광역해역권과 1개의 내륙해양영토권으로 설정했다.
광역경제권은 ▲공존경제해역권(인천·경기) ▲환황해연계해역권(충남·전북) ▲섬·신경제해역권(전남·경남) ▲동북아거점해역권(부산·울산) ▲심해·북방해역권(경북·강원) ▲청정·평화해역권(제주) 등이다.
무엇보다 '공존'이란 단어가 들어간 공존경제해역권에 시선이 쏠린다.

인천·경기 두 도시는 수도권에 속하면서 한강하구와 경기만을 공유하는 특징을 지녔다. 경기만에는 갯벌과 도서, 하구 등 보존 가치가 높은 자연 환경이 분포하고 있으며, 옹진군 장봉도 등 해양보호구역은 4개소가 지정된 상태다. 여기에 인천은 인천항·인천국제공항 등 동북아 물류의 관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두 지역은 제조업 중심의 국가산업단지가 들어서 있다는 공통점도 있다.

보고서는 "공존경제해역권은 인천항 중심의 해양 물류 네트워크와 인천공항 중심의 항공 물류 네트워크 등 융·복합 물류 기반이 구축돼 있다고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KMI는 공존경제해역권 발전 기본구상에 대해 "인천·경기 해역이 보유한 경제적·생태적·관광적 가치뿐 아니라 평화와 번영의 가치가 공존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 해양경제 중심도시로 도약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를 위해선 ▲항만·항공물류산업과 항만·마리나 등 해양친수관광산업 고도화 ▲해양역사·문화사업 추진 ▲해양도시 체계 구축 ▲섬·갯벌·어촌과 연계한 지속 가능한 생태 관광 추진 ▲수산식품 고부가가치화 ▲서해5도 주변 해역 평화적 이용 등이 실현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최지연 부연구위원은 "현재 시·도와 해수부에서 추진하는 다양한 지역 혁신 사업이 종합적 발전 체계 내에서 추진될 필요가 있다"며 "인천·경기 해역의 역사적·미래적 가치를 어떻게 녹여낼지를 고민했고 그 결과 '공존'에 대한 의미를 부각하는 '공존경제해역권'이란 명칭을 만들었다"고 밝혔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