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곳곳에 처리되지 않은 폐기물이 쌓여가고 있다.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 2월 기준 도내 15개 시·군(64개소)에 불법투기·방치 폐기물 65만2000t이 쌓여있다. 불법 폐기물은 비산먼지는 물론 침출수 유출 등으로 2차적 환경피해를 양산한다. 상황이 심각하자 경기도는 불법투기·방치 폐기물을 2022년까지 처리할 계획을 세웠다. 하지만 전담인력과 소각시설 부족 등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도는 올해 49만9215t, 내년 10만3413t, 2021년 4668t, 2022년 4만4993t을 처리하겠다고 밝혔다. 방치 폐기물은 처리책임자, 행정대집행을 통해 연내 92%(49만9000t)를 처리키로 했다. 하지만 몰래 버린 불법폐기물을 공공기관이 처리해주는 것에 대해 논란의 여지가 있다. 도내 소각시설은 공공 24개소, 민간 16개소 등 44개소에 불과하다. 게다가 공공소각시설 평균 가동률은 79.5%로 포화상태이고 민간 위탁하는 것은 비용부담이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공공기관의 불법 폐기물 처리가 자칫 도덕적 해이를 부를 수 있다. 이에 경기도는 폐기물을 몰래 버린 원인자를 규명해 책임을 묻겠다고 한다. 하지만 불법 폐기물 문제는 단속으로만 해결되지 않는다. 폐기물을 몰래 버리지 못하게 하는 폐기물 처리 시스템 구축이 선행돼야 한다. 지난해 1월 중국이 폐플라스틱 등 재활용 폐기물 수입을 금지하면서 수출 길도 막혔고, 종이·목재·합성섬유 등은 미세먼지 발생 원인으로 지목돼 태우지도 못하고 있다. 이제는 불법 폐기물 양산의 원인 제거에 나설 때다. 재활용률을 높이는 방안이다. 몇 년 뒤에는 폐기물을 매립하기도 어렵고, 태우기도 어려운 시대가 도래한다. 그때 가서 허둥지둥 정책을 써봐야 지나간 버스에 손 흔들기밖에 안 된다. 지금부터 준비해야 한다.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부터 1회용품을 적게 쓰고, 기업은 포장제 사용을 줄이는 등 생산단계부터 폐기물 양산을 막아야 한다. '쓰레기 대란'을 막기 위해 정부와 기업, 민간이 모두 나서야 한다. 지속적이고 강력한 처방이 필요한 시점이다. 벌써 쓰레기 대란을 예고하는 경고등이 켜졌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