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천지역 공공의료 시스템이 흔들리고 있습니다.
인천시의료원은 환자 수가 급감하면서 인력 유출과 경영적자의 악순환을 겪고 있습니다.
인천적십자병원도 경영난으로 지난해 11월 스스로 응급실을 폐쇄하는 지경에 이르렀습니다.

▲ 이 같은 결과는 고스란히 인천시민, 특히 사회적 약자에게 돌아가게 마련입니다.
공공의료 공급은 취약계층에게 있어 마지막 보루이기 때문에 시장논리에 내맡겨 둘 일이 아닙니다.
국가가 책임져야 할 일입니다.

▲ 1956년 문을 연 인천적십자병원은 1985년 종합병원으로 승격했습니다.
외국인과 이주노동자, 홀몸어르신 등 연간 15만 명의 소외계층 환자들을 돌봐 온 인천 남부권 유일의 공공병원입니다.
그러나 수년째 경영난이 악화되면서 지난해 일반병원으로 전환한 데 이어 응급실을 폐쇄하고, 진료과목도 15개에서 6개로 크게 줄이는 구조조정을 했습니다.

▲ 인천시의료원은 지난해 입원환자가 7만3천 명으로, 전년보다 1만 명이나 줄었고, 같은 기간 외래환자는 전년보다 5천 명 줄었습니다.
환자 감소는 곧바로 병원 경영난으로 이어졌습니다.
그동안 인천시로부터 70억 원을 지원 받았지만, 인건비는 자체 수입으로 충당하도록 돼 있어 임금체불이 되풀이되고 있습니다.
임금체불은 의료진의 이탈로 이어지고, 의료공백은 환자 감소로 연결되는 악순환이 반복되는 구조입니다.

▲ 공공의료원은 의료복지 시스템의 중요한 축입니다.
인천시와 인천시의회는 공공의료원이 낙후돼 가는 근본 원인에 주목해야 합니다.
인천시의료원처럼 시민 접근성이 떨어지는 문제점도 해결책을 찾아야 할 것입니다.
경쟁시스템이 느슨한 공공의료원의 경영효율화 방안도 짚어봐야 합니다.

▲ 치밀한 분석을 토대로 인천의 공공의료 체계가, 돈 없고 뒷배경 없는 서민들에게 가장 유용한 사회시스템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입니다.

인천일보 TV 논평이었습니다.

/인천일보TV media@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