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수요는 느는데 공급은 뒷걸음질

인천지역 공공의료 약화는 300만 대도시 인천의 '그늘'이다. 건강특별시와 시민행복도시, 국제도시 등 휘황찬란한 명성을 좇고 있는 도시의 '부끄러운 민낯'이다.

현 공공의료 전달 체계는 상승 곡선에 올라탄 의료 수요를 따라가지 못할 지경에 놓였다.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시점이다.


▲적정 수준 '4개'인데 … 현실은 고작 '1개'

17일 인천시와 인천의료원에 확인한 결과, 인천지역 진료권은 중·동·미추홀구, 남동·연수구, 서구·강화군, 계양·부평구 등 4개 권역으로 나뉜다.

300만 시민의 공공의료 수요를 충족하고 공공의료 서비스가 효과적으로 전달되기 위해선 4개 거점에 공공병원이 하나씩 들어서야 한다는 것이다.

병원 소재지로 보면 동구에 자리한 인천의료원은 중·동·미추홀구를, 연수구 인천적십자병원은 남동·연수구를 전담하게 된다.

서구·강화군과 계양·부평구는 공공병원이 없기 때문에 공공의료 취약지로 분류된다. 올 2월 기준 이들 취약지의 인구수는 '144만2378명'으로 전체 인구의 48%를 차지한다.

여기에 인천적십자병원이 지난해 11월 종합병원에서 일반병원으로 몸집을 크게 줄여, 사실상 인천엔 공공병원이 하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실제 보건복지부가 같은 해 10월 발표한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에선 진료권별 지역책임의료기관 지정 요건을 '종합병원 규모의 공공병원'으로 정하고 있다. 인천에선 295병상을 운영 중인 인천의료원만이 이 기준에 간신히 부합한다.

인천시의회 김성준(민·미추홀1) 의원은 "국립병원 4곳, 특수법인병원 8곳, 시립병원이 9곳이나 있는 서울과 비교해 인천 공공의료 환경은 너무 열악하다"고 말했다.


▲잠자고 있는 '제2의료원 건립 사업'

2017년 기준 의료 취약계층에 대한 인천지역 종합병원 진료 실적은 길병원이 9180명으로 가장 많았고, 뒤이어 성모병원 7596명, 인하대병원 5242명, 인천의료원 3700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만큼 인천의료원의 경쟁력이 의료 시장에서 뒤처지고 있다는 의미다.

때문에 지역사회에선 공공의료 강화 차원에서 제2의료원이 건립돼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문제는 당초 민선 7기 공약 사업이던 제2의료원 건립이 재정적 부담으로 서랍 속에 들어가 있다는 사실이다.

조승연 인천의료원장은 "인천시가 당장은 어렵겠지만 중장기적으로 제2의료원 신설 계획을 수립하고 현 의료원은 용도에 맞는 형태로 특화하는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적십자병원 정상화도 시가 풀어야 할 숙제다. 응급실마저 폐쇄한 적십자병원을 종합병원으로 원상회복해 정상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정백근 경상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는 "응급의료는 공공의료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시민 안전과 연관된 응급실이 사라졌는데 이것을 보고도 가만히 있는 것은 인천시의 문제"라고 꼬집었다.

/박범준·임태환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긴급진단-위기의 인천 공공의료] 공공병원 키워 지역책임의료기관으로 문재인 정부에서 내놓은 '공공보건의료 발전 종합대책'의 성패는 개선된 공공의료 체계가 현장에 녹아들 수 있는지 여부에 달렸다. 특히 종합대책의 핵심인 '지역책임의료기관 지정·육성' 계획은 인천 공공의료 강화의 자양분이 될 수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보건복지부가 지난해 10월 발표한 종합대책은 국내 공공보건의료기관 비율이 전체 의료기관의 '5.4%'에 불과하고 공공병상 비율은 '10.3%'로 OECD 회원국 중 최하위를 기록한 문제를 해소하고, 튼튼한 공공의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복지부는 종합대책에서 공공보건의료가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