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수 논설실장

안전한 비행의 근간은 수준 높은 정비 역량에 달렸다. 조종사와 정비사는 운명을 같이 하는 존재다. 항공정비사는 체계적인 이론과 기술 습득으로 탄생한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교육 시설의 부족으로 충분한 인력을 양성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저비용항공사의 붐을 타고 항공기 도입은 지속적으로 늘어날 추세지만 정작 안전 운항을 보장할 정비인력은 제자리걸음이다.
이에 따라 항공기 정비 미비에 따른 운항 지연과 결항은 급증하고 있다. 후발 항공사들은 국토부 정비인력 확보 권고기준에도 턱없이 모자란 형편이다. 더욱이 공항 여객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추세라서 항공정비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 인천국제공항은 공항서비스 분야 세계 1위 허브공항으로서 위상을 높이고 있지만 정작 우수한 항공정비사를 육성하고, 항공 안전에 기여할 항공정비(MRO)에는 역부족이다.
입맛은 달고 만족하지만 건강에는 부족한 기형적인 공항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국부 창출의 기회를 잃고 있다. 항공정비사는 외국에서 교육을 받아야 하고,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은 정비와 수하물 처리 등을 외국 업체에 맡기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따라서 최근 1년이 다 돼서야 심의에 들어가는 '인천국제공항공사법 일부 개정 법률안'은 조건 없이 통과되어야 한다.

이 법안 상정의 제안 이유는 '인천국제공항공사의 사업에 항공종사자 양성 교육훈련 사업에 대한 지원과 항공기취급업 및 항공기정비업을 추가함으로써 항공 전문인력의 체계적인 양성'이 골자다. 더불어민주당 윤관석(인천 남동구을) 의원이 대표 발의했다. 바른미래당 이찬열·장정숙, 민주평화당 장병완, 민주당 안규백·신창현·위성곤·박경미·권미혁·김성수 등 여야 의원들이 공동 발의한 개정안이다.
흔히 브랜드와 상권이 좋은 입지라면 사업은 성공할 수 있다고 한다. 인천국제공항이 바로 국제적인 '인천' 브랜드와 하루 1000여회의 항공기가 뜨고 내리는 상권을 가진 항공정비(MRO) 단지의 최적 입지이다. 다만 MRO 점포(격납고 설비)가 없어 판을 펴지 못하는 격이다. 최고의 여건이니 국토부도 인천공항공사가 움직일 수 있도록 지원하고, 성공이 보장된 국가 수준의 창업에 적극 나서주길 바란다. 어제 취임한 구본환 인천공항공사 사장에 거는 기대도 크다. 인천 각계각층이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아이 하나 제대로 키우려면 온 마을이 나서야 한다'는 인디언 속담을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