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항은 1883년 개항 이래로 수도권의 물류전진기지 기능을 맡아왔다. 그러나 그간 지역균형개발 등의 정치적 명분으로 정부 재정투자 등에서 상대적으로 소홀한 대접을 받아 왔던 것도 사실이다.
내년에는 제4차 국가항만기본계획이 수립된다. 이 계획은 향후 10년간에 걸쳐 수행될 국가 항만 개발사업의 토대가 된다. 인천지역 항만업계 등에서는 이번 4차 국가항만기본계획에 인천항 발전을 위한 투자가 제대로 반영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내년도에 계획연도가 종료되는 제3차 항만기본계획은 2011년부터 시행됐다. 당초에는 인천신항에 2000TEU급 선석 8개와 3000TEU급 2개, 4000TEU급 2개 선석을 건설할 예정이었다. 이 가운데 신항 한진컨테이너터미널과 선광컨테이너터미널 등 2000TEU급 4개와 3000TEU급 2개 선석만이 완공됐다.
이후 2016년의 수정계획에는 2000TEU급 4개만 반영됐다. 4000TEU급 선석 2개는 물동량 증가치가 아직 불확실하다며 축소 조정된 것이다.
항만의 선석 확충뿐만 아니라 배후 교통망 등 항만배후단지 개발도 중요하다. 초대형 크루즈터미널과 신국제여객터미널이 올해 개장을 앞두고 있지만 도시철도 등 배후 교통망이 미비한 실정이다. 이는 인천신항도 마찬가지다. 부산항은 이미 2010년 부산신항선 철도가 개통됐지만 인천신항은 배후 수송을 여전히 화물차량에 의존하고 있다.
연간 컨테이너 물동량이 172만TEU로 성장한 인천신항의 2단계 개발도 이번 계획에 반영돼야 한다. 인천항 카페리 이용객이 연간 100만명을 넘어선 만큼 신국제여객터미널의 2단계 개발도 미리 준비돼야 할 것이다.
이밖에 제3차 계획에서 마무리되지 못한 인천내항의 기능 재정립도 4차 계획에 반영돼야 할 주요 이슈다.
인천항의 미래는 인천지역의 산업생태계는 물론 수도권 물류 효율화와 직결돼 있다. 인천항이 앞으로 얼마나 더 발전하느냐는 핵심 기반시설을 갖춰 항만 경쟁력을 끌어올리는 데 달려있다. 인천시와 항만업계는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인천항의 핵심 과제들이 담길 수 있도록 힘을 합쳐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