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항 확장·인입철로 필요
내항 모래·석탄부두 폐쇄
LNG 벙커링 설치 의견도

 

인천항 업계는 해양수산부가 내년 6월까지 수립할 제4차 항만기본계획에 다양한 주문을 내놓고 있다. 2030년까지 향후 10년간 인천항 개발의 바탕이 되는 중요 계획인 만큼, 수도권 물류의 전진기지인 인천항에 걸맞게 주요 시설을 확대하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인천신항 더 키워야
신항은 명실상부한 인천항의 중심 시설로 자리 잡고 있다. 지난해 신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172만TEU(1TEU=6m 컨테이너 1개)로 인천항 전체 312만TEU의 절반을 훌쩍 넘어섰다. 화물 운송 형태가 벌크에서 컨테이너로 변화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컨테이너 물동량은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지금까지 신항 개발 상황은 1-1단계 수준에 머물러 있다. 조만간 한진·선광 터미널 옆으로 1-2단계 건설을 앞둔 상태다. 이번 기본계획이 10년짜리라는 점을 감안하면, 신항 북서쪽 '⊃' 형태의 신항 2단계 개발 계획도 미리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와 함께 물동량 창출의 주역인 배후단지 계획도 1단계를 넘어 2·3단계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신항으로 들어온 화물들을 전국 각지로 실어 나를 '화물열차(인입철도)' 연결도 시급한 과제로 지목되고 있다. 신항에서 수인선까지 13.2㎞ 구간을 연결하는 철도로, 교통 체증 해소와 원활한 물류를 위한 필수 시설이다. 부산항은 이미 지난 2010년 개통된 '부산신항선'을 통해 화물을 처리하고 있다.

▲크루즈·신국제여객터미널 철도 연결…내항 기능 재정립 필수
인천항 크루즈터미널은 오는 26일, 신국제여객터미널은 12월 각각 개장을 앞두고 있다. 하지만 두 터미널 모두 '외딴 섬'과 같다. 교통망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여객을 실어 나르려면 철도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카페리 노선 및 크루즈 운항 확대에 대비한 2·3단계 개발도 검토해야 한다. 한 항만업계 관계자는 "인천항 카페리 이용객이 연간 100만명을 넘어서고 있다"라며 "엄청난 인파를 처리하려면 철도 연결은 당연하다"라고 말했다.

제3차 계획에서 마무리하지 못한 내항 기능 재정립도 4차 계획에 반영돼야 할 주요 이슈다. 남항 석탄부두·모래부두와 연안항 해군부두·해경부두는 각각 기능이 폐쇄되거나 이전해야할 주요 시설이다.

선박수리조선단지와 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선박 LNG 공급시설)도 필요하다. 3차 계획상 선박수리조선단지는 거첨도 일대에 계획돼 있지만, 반발 때문에 사업에 착수하지 못한 바 있다. 업계에서는 반발이 있다면 위치를 바꾸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LNG 벙커링은 앞으로 친환경 항만 정책에 따라 늘어날 LNG 추진선박의 '주유소'라 할 수 있다. LNG 인수기지 인근이 대상지로 유력하다.

항만업계 관계자는 "인천항이 앞으로 계속 커나가려면 3차 계획을 넘어서는 4차 계획이 필요하다"라며 "4차 계획을 제대로 짜기 위해 인천항이 힘을 모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진영 기자 erhist@incheonilbo.com



관련기사
[월요기획] 4차항만기본계획-인천항을 키워라 2030년 인천항의 미래를 그려야 할 제4차 전국 항만기본계획이 내년 수립을 앞둔 가운데, 인천항 기반시설 계획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특히 과거 3차 계획에서 2016년 3차 수정계획으로 바뀌는 과정에서 일부 항만개발 계획이 축소됐던 전철을 밟아선 안 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관련기사 3면14일 해양수산부가 작성한 3차 기본계획(2011년)과 3차 수정계획(2016년)을 비교한 결과, 수정 과정에서 인천신항 계획이 과거에 비해 축소됐던 것으로 나타났다.해수부는 3차 계획 수립 당시 신항에 2000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