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부 2015년 평가 … 중하위
인천서 연수구만 상위권 포함
서울 상위·경기 중상위 대조
사람·장소 중심 접근 필요성

지역별 일자리 질의 편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일자리 질 지수를 상위·중상위·중하위·하위 4그룹으로 구분한 결과 상위 39개 지역 중 서울이 19개로 절반에 가까운 48.7%를 차지했다. 경기도는 30.7%에 해당하는 12곳으로 집계된 반면 인천은 39개 지역 중 단 한 곳(2.5%)만 상위지역에 해당됐다.


▲일자리 질 높은 동네, 인천서 연수구 유일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지역의 일자리 질과 사회 경제적 불평등' 보고서를 발간했다. 통계청의 2010년·2015년 인구통계등록부와 인구총조사를 활용해 시·군·구별로 좋은 일자리가 얼마나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는 '지역 일자리 질 지수(Local Quality of Employment Index:LQEL)'를 개발했다.

지자체별 전체 취업자 가운데 고소득자(4분위)-고학력자(전문대졸 이상)-고숙련자(전문가/관리자) 비중을 분석해 표준점수로 환산했다.

전국 17개 광역 시·도, 252개 시·군·구별로 좋은 일자리 분포를 분석한 결과 일자리 질 지수가 상위 지역으로 분포된 곳은 총 39개였다.

이중 19개가 서울로 종로구, 강남구, 서초구, 송파구, 강동구, 강서구 등이 포함됐다.

경기는 수원시 장안구, 수원시 영통구, 성남시 분당구, 안양시 동안구, 고양시 일산동구·일산서구 등 12개로 집계됐으며 인천은 연수구 1곳에 그쳤다.

인천을 제외한 광역시에서는 대구 수성구와 대전 유성구, 울산 남구·동구·북구 등이 차지했으며, 그 외 도지역으로는 충남 아산시와 창원 성산구였다.

인천·경기지역 가운데 중상위 지역으로는 경기 수원시 팔달구, 김포시, 파주시, 부천시 소사구 등 12곳, 인천은 남동구와 부평구, 서구, 계양구 등 4곳으로 나타났다.

중하위 지역에는 경기가 안성시, 양주시 등 10곳이었으며 인천은 중구와 남구, 동구, 옹진군, 강화군 등 5곳이 차지했다. 경기도에서 하위지역은 연천군이었다.


▲서울 상 - 경기 중상 - 인천 중하위

한국고용정보원은 일자리 질 지수 표준점수에 따라 전국 광역 시·도 및 시·군·구를 일자리 질 상위지역(1 이상), 중상위지역(0~1 미만), 중하위지역(0~1), 하위지역(-1 미만)으로 구분했다.

2015년을 기준으로 17개 광역시도 가운데 일자리 질 지수 상위 지역으로는 서울과 대전이 꼽혔다.

중상위지역에는 세종, 광주, 경기, 울산, 대구 부산이 속했으며 인천을 포함한 제주, 경남, 충북, 충남 강원 등 6개 지역은 중하위지역에 머물렀다. 전북과 경북, 전남은 하위지역이었다.

고속득 계층(4분위, 소득상위 25%)의 비중이 가장 높은 지역은 울산으로 집계됐다. 전체 국민 중 39.4%의 고소득층이 울산에 자리를 잡은 셈이다. 서울이 28.8%, 충남 27.4%, 경기가 26.1%로 뒤를 이었다. 인천은 20.4%로 조사됐다.

고학력자의 비중이 높은 지역은 서울이 55.1%로 나타났다. 서울 시민 전체 1002만명 중 절반 이상이 전문대 졸업 이상으로 집계됐다.

이어 대전(53.7%), 세종(53.3%) 순이었으며 경기는 46.4%, 인천은 40.0%였다.

전문직과 관리자 등 고숙련 계층 비중은 서울(30.5%)과 대전(27.8%), 경기(24.2%)에서 높았으며 세종(24.1%)과 광주(23.8%), 대구(22.0%), 인천(20.2%)이 뒤를 이었다.


▲양질 일자리 매개, 사람과 장소 중심 통합정책 필요

보고서는 '일자리 질의 공간적 불평등' 개념을 활용해 지역별 일자리 질의 격차도 살펴봤다.

지역 취업자의 소득-학력-직업 관련 통계를 이용해 상이지수를 계산해 서울, 부산, 인천, 대구, 광주, 대전, 울산 등 7개 특·광역시별 사회경제적 계층간 공간 분리 정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서울과 부산 등 7개 광역대도시의 소득-학력-직업(숙련) 관련 상이지수는 대부분 2010년에 비해 2015년이 더 낮아졌다. 이는 사회경제적 계층별 공간 불평등 정도가 다소 완화되는 추세라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일자리 질의 공간적 불평등 정도가 가장 높은 도시는 대전이었고, 울산은 지표별로 공간 불평등 정도가 가장 낮았다.

보고서를 발간한 이상호 고용정보원 지역일자리지원팀장은 "양질의 도시 인프라가 자녀에게 대물림되면서 세대 간 계층이동성을 약화시킬 경우, 노동시장의 공간적 분단으로 인해 사회통합이 저해되고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 더 나아가서는 사회 전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협하는 '새로운 도시 위기'로 나아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공간을 무시한 사람중심의 접근, 인프라 중심의 개발사업과 같은 일면적 접근 보다는 양질의 일자리를 매개로 사람과 장소 중심의 접근을 통합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곽안나 기자 lucete237@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