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수·치료역량 격차, 섬지역 더 열악
"불평등 해소위해 市 차원 전담팀 필요"


'3302개, 907개, 93개(의료기관 수)'

인천지역 내 신도심·원도심·도서 간 의료 격차가 크다는 분석이 나왔다. 건강 불평등을 해소하는 균형적 의료 체계 확립이 민선 7기 시정부의 해결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관련기사 3면

28일 인천시가 지난달 수립한 '제7기 인천시 지역보건의료계획(2019년~2022년)'을 보면 지난해 기준 인천 전체 인구의 75.6%(225만8710명)를 차지하는 신도심권의 의료취약인구는 39만756명(권역 인구의 17.3%)으로 집계됐다.

신도심권에는 공공보건기관 9개가 소재하고 있다. 종합병원 12개를 포함한 의료기관은 모두 '3302개'로, 인천 전체 의료기관의 76%가 몰려 있는 상황이다.

반면 중구(영종도는 신도심권으로 분류)와 동구, 미추홀구 등 원도심권은 전체 인구의 20.5%(60만5149명)가 거주하고 있으며, 의료취약인구는 13만7713명(권역 인구의 22.8%)으로 신도심권보다 5.5%p 높은 편이다. 노인 인구 사망률도 신도심권에 비해 높다.

상황이 이런데도 종합병원은 6개로 신도심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의료기관도 '907개'에 그친다. 다만 공공보건기관은 8개로 신도심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도서지역은 훨씬 더 열악한 환경이다.

농어촌인 강화군과 옹진군은 전체 인구의 3%(8만9982명)로 의료취약인구가 39.4%(3만5441명)를 차지하고 있다. 노인 인구도 28.4%(2만5535명)에 달한다.

공공보건기관이 47개에 이르고 의료기관은 '93개'가 운영되고 있으나, 거의 대부분이 의원급으로 중증 질환의 치료 역량이 부족하고 상급 의료기관 접근성이 어렵다는 단점을 안고 있다.

현재 강화군은 공공보건의료법에 따라 분만 의료취약지와 응급의료 준취약지로 지정된 상태다. 옹진군도 민간 의료시설 부재로 의료취약지에 올라 있다.

이번 지역보건의료계획에선 인천지역 보건기관은 2014년 이후 유지 혹은 감소 추세이며 의료기관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나 지역 거점 역할을 수행하는 종합병원은 부족하다는 판단이 나왔다.

특히 응급진료의 경우 신도심·원도심·도서 간 격차가 크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장정화 건강과나눔 상임이사는 "원도심 건강 불평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가 구 단위 건강생활지원센터를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것"이라며 "아울러 인천시에 응급의료 전담팀이 없는 것도 문제다. 응급의료의 중요성이 날로 커지는 만큼 시 차원에서 전담팀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박범준·임태환 기자 parkbj2@incheonilbo.com



관련기사
인천시민 기대수명 1살 늘었다 인천지역 기대 수명이 1년 증가했다. 그러나 인천시민의 스트레스 인지율과 우울증 경험률은 7개 광역시에서 가장 높았다.28일 '제7기 인천시 지역보건의료계획(2019~2022년)'에 따르면 인천의 기대 수명은 2014년 81.4세에서 2017년 82.4세로 상승했다.기대 수명은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년수를 말한다.특히 여성의 기대 수명은 85.6세, 남성은 79.3세로 성별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인천에서 기대 수명이 가장 높은 기초단체는 연수구(82세)였고, 가장 낮은 지역은 옹진군(80.9세)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