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음식 그대로인데 … 트렌드 맞게 재정비해야

▲ 동인천 삼치골목.

▲ 인천지역 곳곳에 조성된 특색음식거리가 지자체의 무관심 속에 특색없는 거리로 전락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객 유치를 위해 특단의 대책이 요구되고 있는 화평동 냉면거리. /양진수 기자 photosmith@incheonilbo.com

인천 특색음식거리 총 24곳 조성

지자체 관리 의무·예산 없어 방치

수십년째 환경정비 無 … 상인 불만

즐길거리 없고 트렌드 변화 못 읽어

상가 수십곳 → 4·5곳 사라지기도

선학동거리 오십시영 축제 활성화

벤치마킹해 콘텐츠 마련 재정비를



"밤 되면 가로등 하나 없이 깜깜해져서 사람들이 이 거리를 지나가는 것도 무서워 한다니까. 특색거리라고 지정만 해놓고 몇십 년째 시설 관리도 제대로 안 하니 누가 오겠냐고."
27일 오후 인천 동구 화평동 냉면거리. 여름이면 넘치는 인파로 인산인해를 이루는 상가들마다 고객 1명 없이 주인만 앉아 있는 모습이 쉽게 눈에 띄었다. 전신주에 매달린 등불과 텅 빈 주차장에 방치된 쓰레기, 덩굴로 뒤덮인 벽면이 을씨년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했다. '화평동 냉면거리' 간판 위 설치된 바람개비만 연신 돌아갔다.


▲ 관리 사각지대 아래 소멸되는 '특색음식거리'
인천지역 각지에 조성된 특색음식거리가 지자체의 무관심 속에 '특색없는거리'로 전락하고 있다.
인천시에 따르면 현재 일선 군·구가 조성한 특색음식거리는 총 24곳이다. 특색음식거리는 지역경제 활성화와 관광객 유치를 위해 정부가 1990년대부터 시행한 사업이다. 보건복지부 산하 식품의약안전청이 주관하다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 승격하면서 이관된 이후 지자체마다 정부 지원 없이 자체적으로 지정·관리하고 있다.
1990년대 당시 지자체마다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 앞다퉈 조성한 이 거리들이 관리 미흡과 혁신 부재로 쇠퇴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인천삼치거리·밴댕이회무침거리·용현동물텀벙이거리 등 대부분 안내판과 조형물만 갖춘 정도고, 화평동냉면거리는 수십년째 가로등 설치와 덩굴 정리 등 시설·환경 정비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상인들의 불만이 쌓여가고 있다.
냉면거리에서 30년째 장사 중인 김모(70·남)씨는 "가로등 좀 설치해주고 벽 덩굴을 정리해 벽화로 조성해달라고 수차례 말했지만 해준다고 해놓고 깜깜무소식"이라며 "냉면거리는 형성된 지 30년 넘은 전통 있는 거리인데다 지난해만 해도 남북정상회담으로 냉면 특수를 누리면서 고객이 줄을 섰다. 조금만 신경 써도 여름에 반짝 오는 게 아니라 사시사철 인기 거리가 될 텐데 지자체는 관심이 없다"고 토로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새 특화거리는 3년째 지정된 게 없고, 물텀벙이거리처럼 상가 수십곳이 모여있던 거리에 4~5곳만 남는 등 특색음식거리가 소멸하고 있다.
관리 당국은 법적 의무사항이 아닌 데다 예산상 관리·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시 관계자는 "주차공간 확충·시설 정비 등엔 적지 않은 예산이 드는데 특색거리를 지정·지원해야 한다는 법적 조항이 없어 예산 확보가 힘들고, 특색거리는 관광 수요가 적어 투자하는 비용 대비 효과가 나타나지 않기에 군·구마다 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게 사실"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남궁 형(민·동구) 인천시의회 의원은 "특색거리는 국내외 관광객들한테 인천의 역사·문화를 알릴 수 있는 가치 있는 유형의 자산이지만 시는 의무가 아니란 이유로 몇십 년째 투자 없이 방치하고 있다"며 "특화 문화를 살려야 원도심이 살아나고 지역 문화·상권이 발전한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고 꼬집었다.
▲도시변형·트렌드 변화에 대응해 지자체마다 재정비에 힘써야
특화거리가 쇠퇴한 원인은 지자체 관리 미흡을 비롯해 도시변형과 트렌드 변화가 주요 배경이라는데 의견이 모아진다. 음식문화 개선사업을 담당하는 유금란 연수구 위생과 식품위생팀장은 "1990년대에서 2000년대 초반까지는 음식점을 집적해 지역문화를 특화하는 사업이 활성화됐고 수요도 있었다. 그러나 요즘은 도시개발로 상가가 빠져 나가고 소비자들이 전문화되고 온라인 SNS 발달로 정보 공유가 활발해지면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거리에 오피스텔이 들어서고 재개발이 일어나는 등 도시변형으로 상가가 하나둘 빠져 나가는데다, 입소문을 따라 개별 음식점을 찾는 게 요즘 트렌드인 만큼 단순히 같은 업종을 집적한다고 활성화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지역 특성을 살리지 않은 채 지정만 해놓아 즐길 콘텐츠가 없다는 것도 원인으로 꼽힌다.

1990년대 당시 정부가 특화거리로 지정돼야 지원을 한 탓에 지자체마다 우후죽순 숫자 늘리기에만 급급했다는 지적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정확한 상권분석과 콘텐츠 발굴을 통해 특화거리를 재정비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꼼꼼한 시장분석과 지역사회와의 소통·협력으로 선학동음식문화시범거리를 활성화하는데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는 연수구가 좋은 예다.

연수구는 2014년도부터 선학동음식문화시험거리 실태조사를 통해 지역내 9개 대학이 있어 기숙사생들이 자주 모이고, 남동산단이 근처에 포진돼 선학역 인근에서 거주하며 출퇴근하는 청년층 외국인 근로자가 많아, 젊은 인구가 모이기 좋은 장소라는 분석을 내놨다.

이어 특화거리 참여업소들을 교육하고 대학 동아리와 산업체, 민간단체와 간담회를 통해 '오십시영(5·10시 Young·5시부터 10시까지 젊어지는 시간)' 축제를 기획했고, 2016년부터 지금까지 매년 개최하고 있다.

오십시영은 대학 동아리와 지역 활동 뮤지션이 참가하는 거리공연과 함께 다양한 식문화를 알리는 행사로, 선학동 상가번영회 자체평가에 따르면 처음 개최한 2016년도 상가 평균 카드매출 매출이 축제 개최 후 15% 증가했다.

연수구는 현재 업소가 3개만 남은 송도 꽃게거리를 특화거리 지정 취소하는 대신 수십년 장사한 상가들을 공동브랜드로 묶고 명가·명인 인증제도를 추진하는 등 새로운 콘텐츠·트렌드를 씌워 지역 특화 문화를 살리려고 시도 중이다.

유금란 팀장은 "현장 공무원들이 영업주 의식 개선을 통해 트렌드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고 소멸해가는 거리는 지역사회와 소통해 새로운 콘텐츠를 발굴해 활력을 불어 넣을 필요가 있다. 지자체마다 특화거리를 지정만한 채 방치할 게 아니라 꾸준한 관심으로 재·행정적 지원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남궁 형 시의원도 "지역사회 간담회를 통해 현장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하고 음식 박물관과 벽화거리·사진촬영지 조성 등 다채로운 볼거리도 함께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예린 기자 yerinwriter@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