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서해수호의 날'을 맞아 인천·경기 지역 기념행사가 축소되거나 폐지됐다고 한다. 국가 수호의 고귀한 희생이 대한민국의 융성과 발전을 이끌어온 계기였음을 상기할 때 걱정이 앞선다. 국가안보는 국민행복과 직결되는 사안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법정기념일로 지정돼 올해 4년째를 맞은 서해수호의 날 행사가 유독 쓸쓸했다니 국민 행복 추구의 국가안보 기반이 흔들릴까 우려된다.

대한민국이 주권을 상실한 지 100년이 된 올해 서해 호국영령들의 정신을 더 깊게 공유했어야 하는 아쉬움도 남는다. 역사적으로 대한민국 정권은 호전적인 태세를 취한 적이 없다. 그러나 제2연평해전, 천안함 피격, 연평도 포격 등 3대 북한 도발로 희생된 장병들을 추모하는 행사가 남북 화해 무드를 내세워 희석된다면 안전한 나라에서 꿈과 희망을 추구하는 국민들의 기대는 혼란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인천 송도고 출신 윤영하 소령은 제2연평해전의 영웅이다. 천안함 전사자로 경기 수원정보과학고 출신 정범구 병장, 평택기계공고 박보람 중사, 성남서고 김태석 원사 등도 대한민국의 영예로운 전사였다. 혹여 군사위협이 없는 탈냉전의 시대가 한반도에 안착했다는 시각은 너무 이른 판단이다. 북한뿐만 아니라 한반도를 둘러싼 주변국의 이념적 대치 정황도 엄중하다. 북한은 주체사상을 확고히 하고 있고, 중국은 중화주의, 일본은 독도 영토문제를 거론하면서 막강한 군사력을 과시하고 있지 않는가.

최근 대북제재 강화를 위해 미국 해안경비대가 한반도 인근에 배치되고, 북한이 방공훈련을 대대적으로 진행하는 마당에 북한의 서해 도발 사실이 한 치도 퇴색되지 말아야 할 것이다. 서해 호국영령들의 희생정신을 소중히 기려야 할 이유다.

하물며 정경두 국방장관이 20일 국회 외교·안보분야 대정부 질문에서 서해 도발이 '불미스러운 남북 간 충돌'이라는 견해는 서해 희생 용사들의 가슴을 저미게 하는 대목이다. 지하에서 순국 영령들이 편히 잠들 수 있도록 서해수호의 날 의미를 다잡아야 한다. 특히 청소년들의 국가안보 교육에 심혈을 기울여야 하겠다. 민주주의 수호의 대한민국 국가관은 항상 공고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