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전원공급설비 관련 구체적 계획 없어
정부가 2022년까지 항만지역 미세먼지를 50% 감축한다고 밝혔지만 실질적인 대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다.
선박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줄이기 위한 필수적인 장비인 육상전원공급설비에 대한 투자 계획은 빠져 있어 이에 대한 정부 지원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19일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는 서울 청사에서 항만지역 미세먼지 절감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부처는 미세먼지 발생을 줄여 항만지역 주민의 건강권을 확보하고자 배출규제해역 및 저속운항해역을 지정하고, 항만 하역 장비의 일종인 '야드 트랙터'의 연료도 경유에서 액화천연가스(LNG)로 바꿔 친환경적 항만 기본시설을 확대할 계획이다.

인천항 선박에서 내뿜는 미세먼지 배출량은 인천지역 전체 양의 13%를 차지할 만큼 주요한 미세먼지 배출원으로 꼽히고 있다. 선박이 사용하는 벙커C유로 인해 발생하는 황산화물(SOx) 등 각종 대기오염물질이 미세먼지를 생성한다.

그러나 이날 정부가 발표한 대책에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는 육상전원공급장치(AMP) 설치에 대한 구체적인 계획은 빠져 있다. AMP가 부두에 설치되면 정박 중인 선박에 육상 전원을 공급해 시동을 끌 수 있고, 그만큼 벙커C유를 사용하지 않아 오염 물질 배출량을 크게 낮출 수 있다.

막대한 효과에도 설치비용이 높아 보급이 지연되는 만큼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예산을 지원해야 하지만 이날 정부 발표에선 AMP를 신규 설치하겠다는 언급 뿐 구체적인 실행 계획은 마련되지 않았다.

특히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AMP 설치가 의무화됐기 때문에 향후 AMP 신규 설치에 따른 예산 부담은 높아질 것으로 보이는 만큼 지원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그나마 해수부는 작년 추경을 통해 확보한 예산 90억원으로 인천항과 부산항 등 고압 AMP 설치를 위한 공사를 진행하고 있지만 인천은 겨우 2곳에 불과해 정부의 예산 지원을 통한 지속적인 확대가 필요하다.

해수부 관계자는 "적합한 AMP 설치 지역 등을 검토하는 연구용역을 현재 진행하고 있다"며 "용역 결과에 따라 AMP 설치 계획 등을 수립하겠다"고 말했다.

/정회진 기자 hijung@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