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인천공항철도 영종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운영손실비는 시가 지원한다'는 정부·시·민간 3자 협약에 발목이 잡혔다. 영종역이 매년 적자를 보는 탓에 밑 빠진 독에 하염없이 물만 붓는 모양새다.

18일 시에 따르면 영종지역에 전철역이 신설돼야 한다는 주민 요청에 따라 2016년 영종역을 개통했다.

당시 시는 영종지역에서 미단시티와 영종하늘도시 등 개발 사업이 추진되고 있어 추후 사업이 완료된다면 인구수가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 과정에서 시는 국토교통부·공항철도㈜와 영종역을 운영하며 손실이 발생할 경우 재정적 지원을 하겠다는 협약을 맺은 바 있다.

용역 결과 하루 평균 영종역 이용객 수가 2021년이 되면 7500명에 이를 것으로 분석됐고, 이에 시는 영종역의 적자 폭이 크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러나 지난해 영종역을 이용한 시민은 약 76만명(하루 평균 2100명)으로 기대치에 한참 못 미치는 결과를 기록했다. 손실을 보지 않기 위한 최소 이용객은 253만명이었다.

이 탓에 시는 7억원의 운영손실비를 시비로 메꿔야 했다.

시는 올해 운영손실비가 더 늘어난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추가경정예산안에 영종역 운영손실비 8억6000만원을 올린 것도 그런 이유에서다.

결국 2016년부터 지금까지 30억원에 가까운 재정이 영종역 운영 적자를 메우는 데 쓰이는 셈이다. 운영손실비 보존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우려된다.

반면 같은 운영 형태의 공항철도 청라역은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영종역과 대조를 이룬다. 실제 2015년 8억원이던 청라역 수익금은 지난해 24억으로 3배가량 늘었다.

상황이 이렇자 매년 수억원의 혈세가 들어가는 영종역에 대한 특단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김병기 시의회 의원은 "애초에 영종역은 설계 용역 결과부터 잘못됐다. 시는 이 부분에 책임을 지고 사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역 주민의 교통 복지를 위해 영종역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시가 그 금액을 전부 부담하는 것은 다른 문제"라며 "정부나 인천공항 등의 도움을 받아 시의 재정적 부담을 하루 빨리 덜고 의미 있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현재 영종지역 인구는 꾸준히 늘고 있으며 앞으로 영종역은 청라역과 비슷하게 수익을 내는 곳으로 변할 것"이라며 "다만 아직까지는 재정적 부담이 있더라도 시에서 지원하는 방안이 최선인 것 같다"고 밝혔다.

/임태환 기자 imsens@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