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규모 대비 비효율적 운영… 지방관세청 설립해 공백 메워야"

대한민국 관문인 인천국제공항·인천항의 관세 국경을 수호하는 인천본부세관이 세관장 한 명이 공항과 항만을 번갈아가며 조직을 이끄는 비효율적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대책 마련이 요구된다. 조직 내부에선 국세청과 경찰청과 같이 '지방청 제도'를 도입해 인천지방관세청을 신설하는 등 조직 운영의 효율성을 높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1일 관세청과 인천본부세관에 따르면 이날 취임한 이찬기 인천본부세관장은 앞으로 인천공항과 인천항을 번갈아가는 '두 집 살림'을 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매주 화·목·금은 인천공항 청사로, 월·수는 인천항 3번 게이트 인근 청사로 출근을 해야 한다. 두 근무지 간 거리는 30㎞가 넘는다. 그 이유는 2016년 1월 인천항에 터 잡은 인천본부세관과 인천공항본부세관이 하나로 통합하면서, 세관장도 2명에서 1명으로 감원됐기 때문이다. 그 대신 2급 자리였던 세관장이 1급으로 격상됐다.

문제는 2명이 나눠 이끌던 조직을 1급 세관장 혼자 맡다 보니, 한쪽 청사를 갔을 때 또 다른 쪽에 '기관장 공백'이 생기는 비효율성이 노출되고 있다는 점이다. 긴급한 업무 보고 등이 있을 때 장거리 이동을 해야 하는 직원들로선 불편함을 호소할 수밖에 없다. 기형적 조직 운영이 업무 부담과 행정적 비효율로 이어지고 있다는 얘기다.

이에 관세청은 해마다 행정안전부를 상대로 조직 분리를 요청하고 있다. 인천공항과 인천항 중 한 곳을 1급 세관으로, 나머지는 2급 세관으로 분리해 조직의 효율성을 꾀해야 한다는 내용이다. 그러나 행안부는 "통합한 지 3년 밖에 되지 않았다"며 손사래를 치고 있다.

이러는 사이 인천본부세관의 몸집은 나날이 커지고 있다. 2016년 1300명대였던 직원 수는 지난해 1월 인천공항 제2여객터미널 개항으로 500명 넘게 증가한데다 현재는 1900명대 진입을 코앞에 두고 있다.

인천본부세관은 전국 세관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인천지역에선 단일 조직으로 직원 수가 많은 기관 축에 속한다.

상황이 이렇자 관세청 조직 운영에 지방청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내달 초 개청을 앞둔 인천지방국세청처럼 인천지방관세청을 설립해 1900명에 이르는 거대 조직을 효율적으로 운영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상현 관세청노조 위원장은 "유독 관세청만 지방청이 없다. 지방청 제도가 도입되면 지역별로 세관 조직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게 되며, 관세 국경 감시망이 더욱 촘촘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범준 기자 parkbj2@incheonil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