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의 해양 관련 숙원 사업들이 풀릴 전망이다. 해양수산부는 7일 올해 주요업무계획 발표에서 인천 극지연구 인프라 강화와 해양문화 확산 등을 중점과제로 선정했다. 해양도시 인천 발전을 기대하며 환영한다.
해수부는 제2쇄빙연구선 건조 예비타당성 조사를 재추진하고, 인천 극지연구소 인근에 극지 환경을 재현하는 실용화센터를 2021년 완공하겠다고 밝혔다. 인천항을 대 중국 물류중심항으로 육성하고, 인천·부산항의 미세먼지 저감 체계를 2022년까지 구축하겠다는 구상이다. 설계예산을 이미 확보한 인천 해양박물관 설립도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사 통합 방안도 내놨다.

인천을 모항으로 둔 쇄빙연구선 아라온호 한 척으로는 남·북극의 광범위한 지역을 선도적으로 연구하기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인천 내항은 연중 수심이 일정한 갑문항이고, 파도가 잔잔한 정온수역이다. 쇄빙연구선이 언제든 입출항이 용이한 모항으로서 연구 지원 환경을 충분히 갖춘 상태다. 그럼에도 인천은 극지연구소의 부산이전 논란 등과 같은 소모적인 논쟁에 휘말려왔다.

항만도시 인천은 우리나라 해양 역사를 기록해온 주요 거점 도시이다. 풍부한 해양 관련 유물과 자료뿐만 아니라 갯벌, 해양 생물을 품은 천혜의 섬 자원 등 해양 문화교육 인프라의 활용성은 무궁무진하다. 인천 해양박물관 설립은 해양 문화교육 환경에서 소외됐던 수도권 주민들의 해양 여가 선용과 청소년들의 해양 교육에 이바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의미 있다.

또 해수부는 미세먼지의 주범으로 지목되는 항만의 대기오염 배출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기 위해 '항만지역 등 대기질 개선에 관한 특별법' 통과에 전력투구하는 상황이다. 중국 수출 물동량을 처리할 신항 1-2단계(5선석) 건설사업도 기본계획에 반영, 적기에 추진한다는 것이다.
그동안 정부의 해양정책에서 인천 홀대라는 지역 정서가 해소되기 위해서는 정부 정책이 계획에만 머무를 것이 아니라 실제 성과로 나타나야 한다.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인천 관련 해양 정책이 차질 없이 수행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