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31개 시·군의 교통체계를 개선할 경기교통공사 설립을 준비한다. 경기도민의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높일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주민 858명이 응답한 경기교통공사 설립 필요성에 대한 설문에서 82.8%가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는 또 경기교통공사 설립 타당성 용역에서 긍정적인 결과를 도출했다. 이로써 이재명 지사가 공약에서 밝혔듯이 교통 사각지대 개선의 컨트롤 타워 기능이 늦어도 내년 상반기 중 가동하게 될 전망이다. 사실 경기도는 전 국토의 10%를 차지하고, 인천의 10배에 이르는 넓은 면적이지만 도·농을 연결하는 교통체제를 비롯한 신도시 교통망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못해 1310만여명 도민의 교통 이용에 불편한 점이 많았다.
또 서울, 인천, 부산 등 7개 광역단체가 교통공사를 두고 있는 현실에서 유독 규모가 큰 경기도에는 체계적인 대중교통 전담기구가 없는 실정이다. 그러나 내년 출범하는 경기교통공사는 전국 광역지방자치단체로는 처음으로 대중교통 종합 전문기구의 틀을 갖추게 된다. 도는 노선입찰제 방식의 버스 준공영제 적용, 광역 교통시설 확충, 교통약자 지원 등 앞서가는 교통개선 방안을 내놓았다.

현재 경기도는 교통정보센터가 운용되고 있으나 교통정보에 편중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이다. 이제 차원 높은 교통망의 관리·운영은 주민의 사회경제활동과 직결되고 도시발전과 밀접하게 연결되는 요소다. 그뿐 아니라 편의성을 높인 교통 인프라는 지역 간 격차를 줄여 공동체 문화의 형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동안 교통·수송 분야가 경제활동을 증진시키는 삶의 질 향상 분야로 떠오른 만큼 경기교통공사 설립은 시급한 과제였다.

도는 3월부터 행정안전부와 첫 협의를 거친 뒤 설립 타당성 검토 용역을 마무리 하고 도민 공청회, 공사설립 심의위원회 구성 등의 절차를 밟아 경기교통공사를 출범시킬 계획이다. 경기도는 민선7기 도정의 핵심가치로 '편리한 교통'을 포함시키고 있다. 따라서 이번 경기교통공사 설립이 무엇보다도 주민 모두에게 긍정적인 성과로 나타날 수 있도록 버스노선의 공공성을 확고히 하고, 운송업체 스스로가 서비스를 강화하는 계기도 되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