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금융권 암묵적 압력

결정적 계기는

양측 총수 `청와대 면담" 삼성과 대우가 삼성자동차-대우전자를 서로 맞바꾸는 빅딜(대규모사업교환)협상에 대해 정부가 이를 확인, 기정사실로 굳어졌다.

 그러나 삼성과 대우는 아직 최종입장을 정리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향후 빅딜전개과정에 다소간 진통이 예상된다.

 2일 재계에 따르면 재계는 물론 정부와 금융권에 두루 삼성의 「자동차사업 명예퇴진」에 대해 공감대가 형성돼 있으나 빅딜 당사자인 삼성과 대우 양측의 경우 빅딜이라는 총론에는 이견이 없으나 각론부분에서는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자동차-대우전자를 매개로 한 빅딜을 가장 먼저 제기한 측이 어디인지 분명치는 않지만 정부와 금융권의 암묵적인 압력에 재계가 승복, 협상에 착수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우선 이헌재 금융감독위원장은 지난달 하순부터 부쩍 삼성자동차 문제에 대해 적극적인 언급을 시작해 관심을 끌었다.

 이위원장은 지난달 30일에는 기자간담회에서 5대 그룹의 재무구조개선계획과 관련 『삼성그룹의 삼성자동차 등 그룹별로 처리방침이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은 1~2개 사업부문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지난주 말까지 각 그룹으로부터 계획이 대부분 제출됐다』고 언급, 삼성에 간접적인 압박을 가해 주목을 끌었다.

 빅딜 협상개시의 결정적인 계기는 지난달 26일 이건희 삼성회장의 청와대행사 참석과 29일 김우중 대우회장의 청와대 단독예방이라는 관측이 유력하다.

 5대그룹 사업구조조정의 연내 매듭이라는 대원칙에 대해 재계와 정부, 금융권 모두가 동의하고 있으나 석유화학·철도차량·항공기 등의 구조조정 업종의 금융권 지원문제가 겉돌자 재계총수의 청와대 연쇄 방문으로 이 문제가 가닥을 잡는 한편으로 자동차-가전 빅딜카드가 불거졌다는 것이다.

 특히 김대중대통령은 지난달 30일 박태준 자민련총재와 주례회동 직후 대변인 발표를 통해 정부-재계정책간담회 소집과 함께 김우중회장의 청와대 면담 사실을 공개했다.

 재계는 김대통령과 박총재 회동에서 자동차-가전 빅딜을 포함한 5대그룹 구조조정의 조기매듭에 대한 「정치권의 동의」가 이뤄진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청와대 고위관계자가 2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삼성자동차가 비슷한 부채규모를 지닌 회사와 교환될 것』이라고 운을 띄움으로써 물밑에서 진행중인 빅딜협상을 수면 위로 끌어올렸다.

 청와대가 먼저 애드벌룬을 띄운 것은 협상당사자인 삼성-대우에 대해 압박을 가함으로 빅딜의 속도를 높이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제 남은 문제는 삼성-대우 수뇌부의 최종결심과 금융당국이 빅딜성사를 위해 어느 정도의 지원을 하게 될 것인가 여부라고 할 수 있다.〈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