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인천역 근처에 그 시장이 있었기 때문에 '양키'는 친숙한 단어였다. 미국인을 얕잡은 말이라는 것은 한참 커서야 알았다. 양키시장의 정식 이름은 '송현자유시장'이다. 1965년 정식 등록될 당시 점포수는 660여개였다. 인천의 미군부대 뒷문으로 흘러나온 양키 물건들이 이곳에서 밀거래되었다. 양주와 양담배, 껌, 초콜릿, 통조림 등이 좁은 선반에 빽빽하게 진열돼 있었다. 야전잠바, 야전삽, 수통 등 '오리지널' 미군용품도 눈에 띄었다. 달러와 플레이보이 잡지도 얼마든지 구할 수 있었다.

경찰이나 미군 헌병들이 불시에 들이닥쳐 금지된 물건들을 압수해가기 일쑤였다. 단속 나오면 좌판 물건을 싸들고 달아나거나 국산품 진열대로 순식간에 바꾸는 숨바꼭질 소동을 벌여야 했다. 물건과 상인들이 마치 도깨비처럼 나타났다가 순식간에 사라져 버려 '도깨비시장'으로 불리기도 했다. 소싯적 이곳을 기웃거려보지 않은 인천 사람이 별로 없을 것이다. 물건을 샀던 구경만 했던 양키시장은 당시 '핫한' 공간이었다. 1970년대 가게 한 평에 400만원에 거래되었다. 당시 웬만한 집 한 채 값이었다.
이제는 '쩨'를 쫓아 드나들던 사람들 발걸음이 뚝 끊겼다. 미제에 대한 환상은 사라졌고 필요하면 해외직구를 해서라도 사용한다. 요즘 이 시장은 세월의 무게를 이겨내지 못하고 어스름 조명 아래 늙은 양키처럼 웅크리고 있다. 도심 속 오지처럼 변해버렸다. 동인천역 재정비 사업으로 양키시장이 개발된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인천 사람들의 애환이 담긴 흔적 하나가 또 사라진다.

흔적은 누구에게는 추억, 누구에게는 아픔, 누구에게는 기록이다. 재개발 설계도에 '양키시장'을 추억할 수 있는 작은 공간이라도 그려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전 굿모닝인천 편집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