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수 논설실장

전남 목포가 힙플레이스로 떠올랐다. 지난해 문화재청은 목포와 군산, 영주 3곳을 근대역사문화공간으로 지정해 국비 등을 투입한다. 개항의 선도 항구도시 인천은 포함돼 있지 않다. 목포는 낙후지역의 문화유산을 몽땅 문화재로 지정해 구도심의 쇠락을 막고 도시재생 사업의 효과를 기대하는 눈치다.
손혜원 의원의 역할에 따라 목포 대의동 일제강점기 적산가옥(일본식 가옥) '창성장'은 정쟁의 현장이 됐다. 창성장은 일제강점기 요정이었고, 여관을 거쳐 게스트하우스로 리모델링해 투숙객을 받는 근대문화유산 숙소로 탈바꿈했다. 논란의 중심에 선 손 의원은 '자기 집을 고쳐 숙소로 내주는 쿠바의 까사(CASA)'라고 줄여 부르는 모양이다. 손 의원이 투기 의혹을 받는 핵심 내용은 이른바 이익충돌 사안이다. 국민권익위원회가 추진한 이해충돌방지법은 국회에서 무산됐다.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을 고쳐 매지 말라'는 속담의 지혜가 아직은 입법보다 위에 서 있는 느낌이다.

목포 유달산 아래 적산가옥 카페들이 노이즈 마케팅의 후광을 받는다고 한다. 인천 중구 응봉산 중턱에 자리를 잡은 옛 제물포구락부가 세계맥주 판매 카페로 변신을 앞두고 있다. 유형문화재의 가치를 가볍게 평가하는 것 아니냐는 주장도 있다. 국비 또는 지방비를 지원받을 수 있는 등록문화재는 전국에 700여개에 이른다. 상업적 효용도가 높은 일제 수탈의 잔재로 남은 가옥들 앞에서 대한민국의 정신은 살아있는가. 또 목포보다 15년 정도 이르게 개항한 인천의 문화유산은 안녕한지 궁금하다.

목포는 할 말이 있다. 유달산 경관을 해친다는 이유로 22층 아파트 주거단지의 신축이 거절되는 도시다. 반면 인천은 역사문화지구 인근에 29층의 오피스빌딩이 들어선다.
또 시민단체들은 최근 인천시가 추진한 '인천 문화유산 중장기 종합발전계획'의 최종발표 내용이 부실하다는 성명까지 내놨다. 1억원의 예산을 들인 연구결과의 발표에 시 담당국장과 자문위원, 공무원 등 12명만 참석해 '셀프 발표회'가 되고 말았다.

전문성이 부족한 인력으로 인천문화재단 산하 인천역사문화센터가 하청의 하청 모습으로 용역을 수행했으니 한계가 드러난 셈이다. 그러니 인천의 문화유산 관리 체계가 제대로 작동할 리 없다. 목포가 1000여억원이 넘는 문화유산 국가 재정을 확보했다. 문화유산에 기울인 파행을 거꾸로 뒤집어보면 '목포의 설움'을 극복하고 '목포는 항구다. 추억의 고향'이 되는 듯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