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인천, 호재 못살려"
NLL 인접 서해5도 탐방.아라뱃길~북한 크루즈 등 장기적 관광콘텐츠 개발을


"남북평화 기조에 발맞춰 인천과 북한을 연결하는 물꼬를 트자."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3차에 걸친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남북평화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에 따라 정부와 각 지자체는 북한과의 교류 방안에 대해 구상하고 있다. 인천시도 지난해 10월 남북교류를 위한 주요 사업으로 ▲고려1100주년 강화·개성 역사 학술교류대회 ▲수산자원 공동연구 등 환경분야 교류 ▲스포츠 교류 확대 등의 추진 계획을 밝혔다. 대부분은 12년 전 '10·4 남북정상선언' 당시 논의된 사안들을 계승한 내용이다.

민간을 중심으로 논의 중인 사안도 있다. 바로 남북평화관광 분야다. 북방한계선(NLL)이 인접한 서해5도를 돌아보는 평화탐방, 경인아라뱃길~평양~개성~신의주을 잇는 남북크루즈 사업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크루즈의 경우 남북을 잇는 바닷길을 통해, 장기적으로는 북한 환적화물 등 경제 교류를 내다볼 수 있는 사업이기도 하다.

김진만 현대크루즈 대표는 "금강산관광도 1998년부터 5년간은 크루즈로 관광객을 실어 날랐다. 그때처럼 육로가 연결되기 이전까지 우선 근거리에 있는 인천과 북한을 연결함으로써, 환황해권 권역간 교류를 먼저 시작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을 존치해 남북교류협력을 위한 연안여객터미널이나 크루즈 부두로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된 배경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를 공식적인 사업으로 추진하기는 어렵다는 게 시의 입장이다. 다음달에 발표되는 '2019 관광진흥계획'에는 남북 관련 관광 사업들이 명시돼 있지 않다. 인천관광공사 관계자는 "진흥계획 특성상 올해 당장 할 수 있는 사업들을 주로 다룬다"며 "남북사업 특성상 국제적인 정세에 따라 불안정성이 있기에 당장 할 수 없는 문제다. 다만 장기적으로는 관련 사업을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타 지자체에서는 다양한 사업 계획안을 내놓고 있다. 관광이 주력산업인 강원도에서는 최문순 도지사가 동해선·경원선 등의 철도 연결과 크루즈관광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비무장지대(DMZ)로 맞닿아 있는 경기도 마찬가지다. 특히 파주시는 지난해 11월 '남북정상회담 코스 연계 관광자원화' 토론회를 통해 남북관광의 방향에 대해 고민하는 자리를 가지기도 했다. 멀리 있는 부산의 경우에도 '대북 관광 연계사업 발굴 회의' 등을 통해 향후 지역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모습이다.

이에 대해 관광전문가들은 인천이 남북교류 같은 호재를 살리지 못하는 것은 관광 분야에 대한 마스터플랜은 고사하고 산업적 측면에서 관심이 없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다.

국정승 아이씨트래블 대표는 "인천관광이 지향하는 바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라며 "예로 단체관광객을 주 대상으로 한다면 지역 내 중저가형 단체 숙소를 지원한다든지 맞춤형 인프라 형성에 애써야 하고, 특수목적관광객이나 개별여행객 등을 잡으려면 다른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당장 관광객을 모으기 위한 정책보다는 장기적으로 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재호 인하공전 관광경영학과 교수는 "시에서 추진하는 관광사업이 잘 드러나지 않고 있다"며 "사실 관광은 외부인들을 위해 세심함을 갖춰야 하는 분야다. 예로 언어 불편함이 없도록 한다든지, 표지판을 설치한다든지 비교적 간단한 일로도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인천을 스쳐가는 관광객들을 위해서는 불안함을 해소해주는 인프라 개선이 최우선이지만 이런 움직임은 보이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여기다 관광객을 불러모을 만한 지역 관광콘텐츠가 마땅하지 않다는 것도 공통적인 의견이다. 누구든 한 번 쯤 들리고 싶은 인천을 만들기 위해서는, 민간 관광업체들이 뛰어들 수 있는 환경 조성에 애써야 한다는 의견도 나온다.

정치오 강릉영동대 교수는 "관광하기 좋은 도시가 된다는 것은 시민들도 거주하기 좋은 곳이 된다는 의미"라며 "인천만의 브랜드 이미지를 가진 여가시설을 개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김은희 기자 haru@incheonilbo.com